기사입력 2017-09-29 06:00:00
기사수정 2017-09-28 23:36:46
“직원은 시민이 아닙니까? 직원이 있어야 시민을 위해서 일할 것 아닙니까.”
지난 28일 저녁 서울시청 본관 1층 로비에서 마이크를 잡은 중년 남성이 절규했다. 가장 앞줄에서 이야기를 듣던 박원순 서울시장은 고개를 들지 못했다. 지난 18일 서울 도봉구 한 아파트에서 투신자살한 서울시 공무원 A(28)씨의 아버지 B씨는 이날 열린 아들의 이별식을 찾았다.
|
서울시청 본청 1층 로비에 설치된 추모의 공간. |
지난 25일부터 시청 본관 1층에는 A씨의 죽음을 추모하는 공간이 설치됐다. 고인의 영정사진 앞에는 동료들이 두고 간 국화꽃이 가득했다. 영정사진 옆 기둥은 ‘추모의 벽’으로 꾸며져 직원들이 남긴 400여장의 포스트잇이 붙었다. 이날 열린 이별식은 지난 추모의 시간을 정리하고 A씨를 떠나보내기 위해 직원들이 마련한 추도행사였다. 행사에는 A씨의 아버지뿐만 아니라 박 시장, 류경기 행정1부시장, 김종욱 정무부시장 등 서울시 간부들이 대거 참석했다. 직원 70여명도 퇴근을 미루고 자리에 참석해 고인의 마지막을 애도했다.
2014년 서울시 7급 행정직에 합격한 A씨는 2015년부터 서울시 본청에서 근무했다. 입직 후 청소년 관련 업무를 담당하던 A씨는 지난 1월 예산과로 발령을 받았다. B씨는 “예산과에서 일한 뒤 아들 얼굴 보기가 힘들었다”며 “6월부터 거의 매일같이 야근하고 주말마다 출근했다”고 말했다. 평소 공무원이 된 것을 자랑스러워하던 아들은 어느 순간부터 “업무가 너무 많아서 힘들다”고 토로하기 시작했다고 B씨는 전했다. B씨는 “아들이 워낙 바빠서 같이 저녁 먹자고 시청 근처에서 약속해도 아들이 밥 먹기 직전에 ‘일이 너무 많아서 나갈 여유가 없다’며 끼니도 챙기지 못하고 일했다”며 “사람이 다 살자고 일하는 건데 매일 야근하고 새벽 3∼4시에 퇴근해서 아침 8시에 출근하는 직장이면 사람 죽이려고 작정한 거 아니냐”고 울먹였다.
한동안 말을 잊지 못하던 B씨는 “아들이 초등학생 때 얼굴에 큰 화상을 입어 중학교도 다니지 못하고 힘들게 치료 받으면서 검정고시로 중졸 졸업장을 땄다”며 “어린 나이에도 힘든 내색하지 않고 치료를 견딘 아이인데 이렇게 떠난 사실이 믿어지지 않는다. 아들이 왜 스스로 목숨을 끊었는지 철저하게 조사해달라”고 부탁했다.
B씨가 아들의 영정사진 앞에서 울먹이자 일부 직원들은 울음을 감추지 못했다. A씨와 같은 과에서 근무했다는 한 직원은 “정말 착하고 성실한 직원이었는데…”라며 말을 잊지 못했다. 울음을 참으려는 훌쩍임과 흐느끼는 소리만이 시청 로비를 채우고 있었다.
|
지난 28일 서울시청 본관 1층 로비에서 열린 이별식에서 참석자들이 A(28)씨 죽음을 애도하며 묵념을 올리고 있다. |
박 시장은 유가족과 동료 직원들 앞에서 머리 숙여 사과했다. 그는 “고인의 죽음을 헛되지 않도록 충분히 조사해 서울시 조직문화를 개혁하는 계기로 삼겠다”며 “모든 것이 다 제 잘못이다”고 말했다.
A씨와 함께 입직한 동료 직원은 추모사에서 “언제부터 우리는 힘들면 안 되는 세상이 됐을까. 힘들다고 말하면 ‘나약하다’는 편견 때문에 우리는 힘들다고 말할 권리조차 빼앗겼다”며 “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고 깊은 유감을 표현했다.
1시간에 걸친 이별식은 서울특별시청지부 김경용 위원장의 ‘잊지말자 000아, 잘 가라 000’이라는 외침으로 마무리됐다. A씨를 추모하며 기둥을 빼곡히 채운 포스트잇에는 다음과 같은 메모가 하나 남아있었다. ”당신은 갔지만 또… 아무것도 바뀌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더 두렵습니다.” 2011년 박 시장 취임 후 7번째 자살사건을 마주한 서울시 공무원들은 문제를 두고 변화하지 않는 조직에 대한 두려움이 더 커보였다.
익명을 요구한 한 직원은 “직원은 그대로인데 새로운 사업만 자꾸 벌이면서 조직을 키우다보니 과부하가 걸리지 않을 수 없다”며 “자살한 8번째 동료가 생기기 전에 반드시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글·사진=이창훈 기자
corazon@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