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기상이변 갈수록 느는데… 거꾸로 가는 美 '기후정책'

트럼프 대통령 ‘파리기후변화협정’ 탈퇴 공식화에 국내외 우려 고조
중동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 쓰나미가 몰려든다. 냉대기후 지역인 모스크바는 폭염에 노출되고, 아열대인 홍콩에선 용암이 분출한다. 20일(현지시간) 미국 등 세계 각지에서 개봉된 할리우드 재난 블록버스터 ‘지오스톰’이 다룬 대재앙의 모습이다. 영화는 인공위성 조직망을 이용해 날씨를 조정하는 프로그램의 오작동으로 발생한 대재앙을 다뤘다. 영화에 대한 평가는 극단적으로 엇갈린다. 미국의 일부 과학전문지는 단순한 방법으로 심각한 문제를 다뤘다고 평가했다. 세계적인 문제라는 점을 알리려는 듯 출연 배우의 국적은 미국과 중국, 쿠바 등 10개국이 넘는다. 개봉일은 예정보다 몇 개월 연기됐다. 허리케인이 잇따라 미국을 강타하자 배급사가 내린 조처였다. 영화가 다룬 ‘두려운 미래’는 일정 부분 미국이 직면한 ‘오늘의 문제’이기도 하다. 올해처럼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한 때도 없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5월 말 파리기후변화협정 탈퇴 방침을 확인했다. 국제사회의 우려는 그만큼 크다.

◆‘뉴 노멀’(새로운 기준)의 도래… 트럼프 정부의 기후정책 ‘유턴’

지구온난화로 최근 100년 사이 지구의 해수면은 20㎝ 상승했다. 허리케인 등 폭풍의 공급 연료가 그만큼 풍부해진 것이다. 바닷물이 따뜻하고 바람의 속도가 빠를수록 허리케인이나 태풍은 점점 세력을 키우게 된다. 포츠담기후영향연구소의 앤더스 레버만은 “물리학은 매우 명확하다”며 “허리케인은 바다의 열에서 파괴적인 에너지를 얻는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인식에는 미국 과학계도 동의하고 있다. 그럼에도 지구온난화와 자연재해 발생에 직접적인 관계는 확인된 게 없다. 과학적인 증거와 설명도 부족하다. 하지만 자연재해의 강도를 더하고 있다는 점은 공유되는 인식이다. 지구온난화가 허리케인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더라도 이러한 기후변화가 최소한 허리케인의 ‘몸집 키우기’엔 힘을 보탰다는 것이다.


기후변화가 최소한 자연재해 피해를 키우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인식은 여러 파장을 야기하고 있다. 당장 전임 버락 오바마 정부의 방침과는 달리 파리기후변화협정 탈퇴를 공식화한 트럼프 정부의 정책을 비판하는 야당과 시민단체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구온난화와 기상이변이 날씨의 ‘뉴 노멀’로 자리 잡으면서 지구적인 대책이 필요한 때에 미국이 정반대의 행로를 보인다는 비판이다. 트럼프 정부는 빈번한 자연재해 발생은 복합적인 요인 때문이라는 입장이지만, 발언의 강도가 예전처럼 강하지 못하다. 허리케인이 미국 일부 지역을 잇따라 강타하자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최근 파리기후변화협정이 미국에 유리하게 수정되면 탈퇴 방침을 번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으로도 자연재해가 올해처럼 자주 발생하면 트럼프 정부의 입지가 흔들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워싱턴=박종현 특파원 bali@segye.com

제호 : 세계일보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7
등록번호 : 서울, 아03959 | 등록일(발행일) : 2015년 11월 2일
발행인 : 정희택 l 편집인 : 황정미
청소년보호 책임자 : 박광재
02-2000-1234

COPYRIGHT ⓒ SEGY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