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광주교도소 암매장' 증언… 시신은 왜 발견되지 않나

5·18민주화 운동 당시 광주교도소에 암매장 했다는 증언과 진술이 잇따르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암매장된 시신이 나오지 않아 그 이유에 대해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5·18기념재단은 17일 기자회견을 열고 1980년 5월 당시 광주지방검찰청 내부 기안용지와 전언통신문 등 5·18 암매장 검찰 기록을 공개했다.

80년 5월22일자 광주지검이 작성한 ′광주교도소 동향에′에 관한 문건을 보면 “5월21일 밤 군부대가 시체 6구를 5월21일 밤 광주교도소 공동묘지 부근에 가매장했다”고 돼 있다.

또 5월24일 광주지검이 광주교도소에 보낸 전언통신문을 보면 “5월21일 귀 소 공동묘지 부근에 가매장한 사체에 대해 발굴 이동시 군 당국과 협의하에 광주지검 검사가 검시토록 하라”고 지시했다.

이같은 문건은 1995년 전두환·노태우 재판에 제출된 검찰 기록으로 최근 발견한 것이다.

공동묘지 터는 북구 각화동에서 문흥지구로 이어지는 왕복 6차로 도로 주변 옛 교도소 외곽지역이다. 현재 발굴조사가 이뤄지는 북쪽 담장에서 100m가량 떨어져 있다.

15일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광주교도소 남쪽 담장 주변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 암매장 의심지역에 땅속탐사레이더(GPR)를 탑재한 자동차가 투입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처럼 광주교도소 안팎에 암매장을 했거나 목격했다는 당시 계엄군의 증언이 잇따르고 있지만 아직까지 시신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다.

재단은 지난 6일부터 시작된 광주교도소 암매장 발굴 작업 1구간 및 1구간 확장 구간에서 특이한 조짐을 발견하지 못했다. 시신이 발견되지 않은 것이다. 5·18전문가들은 계엄군이 암매장 후 다시 다른 곳으로 옮겼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5·18민주화 운동 후 한 두 달 이내에 계엄군이 다시 광주로 진입했다는 사실이 이같은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김양래 5·18재단 상임이사는 "발굴작업이 길어지면서 피로가 누적될 우려가 있다"며 "구체적인 기록이 있고 묻었다는 사람도 있는데 희생자 유해를 찾지 못해서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 상임이사는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다 보니 새로운 증언이 나오고 있다"며 "암매장에 관여한 분들의 적극적인 증언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광주=한현묵 기자 hanshim@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