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 2018-01-17 19:11:35
기사수정 2018-01-29 15:04:15
대부분 폴리스티렌… 호르몬 교란 없어 / 커피 젓는 스틱·컵 안 코팅제도 무관
“뜨거운 커피 마실 때 뚜껑 덮지 말고 드세요. 환경호르몬 나온대요.”
인터넷을 보면 이 같은 내용의 글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플라스틱컵이 뜨거운 음료에 닿으면 플라스틱에 있는 환경호르몬이 녹아 나온다는 이야기다.
최용훈 식품의약품안전처 첨가물기준과 서기관은 이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사실 플라스틱이 환경호르몬 논란을 일으킨 건 오래된 이야기다. 수많은 플라스틱 가운데 흔히 PVC라 부르는 폴리염화비닐이 대표적이다. 우리가 아는 부드럽고 말랑말랑한 PVC를 만들려면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라고 하는 가소제를 넣는데, DEHP가 바로 환경호르몬(내분비계 장애물질)의 하나다.
또 다른 용의자는 비스페놀A(BPA)다. BPA는 폴리카보네이트(PC·플라스틱의 일종) 분자의 구성물질이다. 그런데 이 PC의 분자 사슬은 뜨거운 물에 느슨해져 BPA가 쉽게 빠져나오게 하고, 이 BPA는 우리 몸에서 에스트로겐 흉내를 내며 내분비계를 교란한다.
|
지난 15일 경기 하남시 창우동 대원리사이클링 집하장에서 직업자들이 일회용 플라스틱컵을 종류별로 분리하고 있다. |
뜨거운 커피컵의 뚜껑은 대부분 폴리스티렌(PS)이다. PS에는 DEHP나 BPA와 같은 환경호르몬이 아예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커피컵에서 환경호르몬이 나온다는 주장도 사실무근이라는 게 최 서기관의 설명이다.
스틱(PP·폴리프로필렌)이나 커피컵 안의 코팅제(PE·폴리에틸렌)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지난해 10월 한 환경단체가 ‘커피컵에서도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이 나온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내는 등 커피컵에 대한 불안은 가시지 않고 있다.
최 서기관은 “유해한 물질이라고 하면 환경호르몬만 있는 게 아니라 중금속도 있고 기타 독성물질도 있기 때문에 위험성이 있는 항목에는 기준을 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PS 컵 뚜껑의 경우 총용출량은 L당 30㎎ 이하, 휘발성물질은 ㎏당 5000㎎ 이하의 기준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윤지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