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가’부터 K팝까지 삶 담긴 노랫말을 찾다

한성우 지음/어크로스/1만6000원
노래의 언어 - 유행가에서 길어 올린 우리말의 인문학/한성우 지음/어크로스/1만6000원


국어학자가 방탄소년단에게 상을 주고 싶은 이유는 무엇일까?

방언학 전문학자인 저자는 대중가요를 매개체로 우리 사회의 단면을 들여다봤다.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등록된 노래는 2017년 12월 1일 기준으로 60만4029곡이었다.

이 가운데 분석 대상 가요는 일반인이 즐겨 찾는 노래방 책에 수록된 2만6250곡이다. 1920년 유성기 음반으로 발매돼 최초 가요로 꼽히는 ‘희망가’부터 K팝의 새 장을 연 방탄소년단의 최신곡까지 풀이했다.

노래에서 단연코 많이 쓰이는 단어는 사랑이다. 1950년대까지 전체 노래에서 사랑이 쓰인 비중은 2.19%지만, 2000년 이후로는 11.03%였다. 여기에 ‘러브’와 영어단어 ‘love’를 포함하면 65.22%에 이른다. 사랑의 앞뒤에 오는 단어를 50위까지 분석해보면 아프다, 못하다, 울다, 떠나다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한국인에게 사랑은 못내 안타까운 감정으로 불려온 것이다.

저자는 “노랫말은 죽어 있는 단어와 문장의 조합이 아니라 살아 숨 쉬는 생명체와 같다”며 “노래로 불리기 위해 다듬어진 말이고, 부르고 듣는 사람의 삶을 담아낸 것이 노랫말”이라고 풀이했다.

저자가 가요를 고르는 데에는 특별한 기준이 있다. 저자는 “‘박제된 말이 아닌 삶 속에 살아 있는 말’을 살피려면 누구나 즐기고 부르며 ‘우리 곁에 가까이 있는’ 노래를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고 했다. 그렇다면 사랑을 쓰지 않은 노래들은 어떨까? 사랑만큼이나 유별난 ‘세월’을 노래하기도 하고,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하는‘시대정신’을 노래하기도 한다. 노래는 사랑을 쓰든 쓰지 않든 모두 우리 삶과 시대를 담아낸다.

예컨대 1980∼90년대 노래 속에서는 연정의 대상이었던 선생님의 자리를 ‘오빠’가 대신했다. 2000년 무렵 ‘역’은 이별의 장소에서 만남의 장소로 바뀐다. 노랫말에서 바뀌지 않은 것도 있다. 찻집에서 마시던 ‘다방 커피’가 ‘아메리카노’로 변했지만 ‘술’은 시대를 관통한다. 인생의 슬픔과 즐거움을 담아내는 ‘한 잔’으로 한결같이 우리 곁을 지킨다.

정승욱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