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 생태계위협 외래병해충 차단 대책 강화해야

우리나라 소나무재선충은 1988년 부산 금정산에서 처음 발생했다. 그동안 1조1000억원의 방제비용이 투입(산림청, 2018년 3월 기준)됐으나 박멸되지 않고 있다.

수십종의 외래병해충은 천적이 없는 새로운 환경에 빠르게 적응해 우리 농업과 자연환경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 지난해에는 완주와 익산 지역에 갈색날개매미충이 대거 발생해 주거공간까지 침범했다. 2009년 처음 발견된 ‘미국선녀벌레’는 우리의 산림자원과 과수 등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발생면적은 2017년 1만5138㏊에 달했다. 2015년 안성, 천안, 제천 지역에서 처음 발견된 과수화상병은 사과와 배 나무에 치명적이다.

1900년대 이후 지금까지 89종의 외래병해충이 우리나라로 유입됐는데 34종은 2000년 이후 들어왔다. 국가 간 무역이 활발해지고 여행객 수가 늘면서 외래병해충의 유입도 더 빨라진다. 각국은 자국의 농업과 자연환경을 보호하고자 외래병해충 유입 차단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미국·캐나다 등은 아시아매미나방의 유입을 막으려고 2003년부터 선박 등 운송수단에 새로운 검역요건을 부과하고 베트남, 태국, 미얀마 등도 위험평가를 한 후 수입 여부를 결정한다.

차제에 기존의 국경 중심의 검역에서 벗어나 수출국에서 병해충 유입 위험을 줄이는 방안, 국경에서 효율적으로 유입을 차단하는 방안, 유입 초기 방제를 강화하는 방안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외래병해충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국민·연구기관·관련 기관이 참여하는 ‘외래병해충 공동대응 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법·제도 개선과 적절한 예산 투입도 이뤄져야 한다.

박정규·한국응용곤충학회장·경상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