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김해에서 신라시대 유적 다량 출토

경남 김해시 주촌면 양동산성에서 6세기 신라 시대의 생활상을 알려주는 소중한 유적과 유물인 집수지와 목간 및 생활목기 등이 다량 출토됐다.

대성동고분박물관은 최근 양동산성 학술발굴조사에 따른 자문회의를 열어 이같은 발굴내용을 공개했다. 대성동고분박물관은 지난 4월부터 양동산성 학술발굴을 계속해오고 있다.

이번 학술발굴조사는 경남도 기념물 제91호인 양동산성의 축조시기를 규명하고, 집수지(산성 등에서 물을 확보하기 위해 만든 못)의 구조를 밝히고자 시작됐으며 현재 집수지 1기의 절반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영남지역 집수지 중 최대급에 해당하는 규모 길이 15.5m, 너비 22.8m, 최대깊이 3.4m인 평면 직사각형의 집수지가 확인됐다. 집수지의 내부에서는 6세기 후반부터 7세기대에 해당하는 유물들이 다량으로 출토됐다. 양동산성의 집수지는 금관가야가 멸망한 532년 이후에 만들어졌고, 산성의 축조시기 역시 집수지의 시기와 동일할 것으로 조사단은 판단하고 있다.

집수지 내부에서는 일상생활용 토기편들이 다량으로 조사됐고 보존상태가 매우 좋은 철화살촉 2점과 철도끼 1점이 출토됐다.

그리고 김해의 매장문화재들 중 출토된 적이 매우 드문 목간(붓 글씨가 남아 있는 나무조각)과 바가지, 국자, 소쿠리 등 생활목기 및 짚신이 출토됐다.

특히 출토된 3점의 목간 중 1점은 양동산성으로 운송한 곡물 꾸러미에 부착된 짐꼬리표로 확인됐다. 이 목간의 크기는 길이 26.8㎝, 너비 2.5㎝, 두께 0.7㎝다. 이 짐꼬리표 목간에 적혀 있는 글자의 기재방식은 ‘마을이름+ (사람이름)+곡물이름’의 순으로 적은 함안 성산산성 부엽층에서 출토한 목간의 기재방식과 거의 흡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성산산성 목간에 적혀 있는 ‘栗村’(율촌) 이라는 마을이름이 양동산성 목간에도 적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해시는 두 지역의 목간을 비교 연구하면 함안과 김해, 나아가 신라와 김해와의 관계 등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창원=안원준 기자 am3303@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