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김정은 '210분 담판'…北·美 만족할 '교집합' 찾았나

北·美 합의 내용·전망 / 北·美 정상회담 합의사항 이행 언급 / 빈 실무협상 채널 가동도 논의한 듯 / 北·美 맞교환 타협점 도출 최대 관심 / 비핵화 방식·순서 놓고 담판 가능성 / 한국정부 중재안 北·美 동의도 주목 /‘빅딜’ 결과 따라 비핵화 방향 판가름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7일 반나절 방북을 둘러싼 최대 관심사는 북한의 추가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 조치를 맞교환하는 방식에 합의를 이룰 지에 초점이 맞춰졌다. 지난 7월 ‘빈속 방북’ 때와 달리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방북을 통해 어느 정도 수준에서 타협점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

이날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공개한 폼페이오 장관의 발언에 따르면 북·미는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 정부의 참관 문제, 미국이 취할 상응 조치에 대해 논의했다. 미국의 동창리 미사일 엔진 실험장 및 미사일 발사대 폐기 참관, 영변 핵 시설 폐기, 종전선언, 대북제재 완화 등에 대한 대화가 오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은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미국의 상응 조치에 대한 논의가 이뤄진 것은 북한이 요구해온 단계적 접근과 동시행동 원칙을 미국이 마침내 수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양국의 입장차가 상당히 좁혀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다. 

마이크 폼페이오 美 국무장관이 7일 트위터를 통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났다며 공개한 사진. 사진출처=폼페이오 트위터

폼페이오 장관이 이날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2차 북·미 정상회담을 가급적 이른 시일 내 개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공개한 점도 이러한 긍정적 기대에 힘을 싣는다.

문재인정부가 구상한 남북 정상회담→북·미 정상회담→종전선언 로드맵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도 보인다.

다만 북한이 원하는 ‘종전선언+α’(알파)와 미국이 원하는 비핵화 조치 간 거래 성사 여부 및 구체적 내용은 아직 베일에 가려져 있다.

종전선언과 관련해 북한은 공식매체를 동원해 종전선언이 영변 핵 시설 폐기와 맞바꿀 거래 대상이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대북제재 완화·해제 이외 북한의 요구사항이 무엇인지와 미국에 비공개로 북한이 제의한 추가 비핵화 조치 역시 미확인 영역으로 남아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얘기한 핵 시설 신고를 뒤로 미루고 영변 핵시설 폐기와 종전선언을 맞바꾸는 중재안을 북·미 양국이 수용했는지도 아직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북한은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을 앞두고 기존의 종전선언 요구에 더해 대북제재 문제를 공개적으로 거론했고, 미국 재무부는 보란 듯이 추가 대북 독자제재 발표로 맞섰다.

전직 외교·안보 고위관료는 “북한의 핵 시설 신고·검증을 일단 뒤로 미루자는 우리 정부 제의를 미국이 수용할지 의문이고, 종전선언과 영변 핵 시설 폐기의 맞교환 방식에 북한이 동의했을지도 아직 알 수 없다”고 말했다.

평양 방북 취재에 참여한 미국 매체가 공개한 영상을 보면 폼페이오 장관과 김 위원장과의 오찬을 겸한 면담 분위기는 화기애애했다. 두 사람의 표정도 밝았다.

폼페이오 장관의 이날 방북에는 스티브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앤드루 김 미 중앙정보국(CIA) 코리아미션센터장도 동행했다.

북측에서는 김영철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김성혜 통전부 통일전선책략실장,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이 배석했다.

비건 특별대표의 카운터파트인 최선희 외무성 부상은 북·중·러 3자 외무 차관급 회담 참석차 베이징을 거쳐 현재 모스크바에 체류 중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달 비건 특별대표를 내세워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있는 빈에서의 북·미 실무협상 가동을 북한에 제의했으나 북한은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비건 대표가 폼페이오 장관의 평양행에 동행한 만큼 빈에서의 실무협상 채널 가동에 대한 논의도 이날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가 북·미 양국이 북한의 비핵화 및 북·미 정상회담 논의를 위한 실무협상단을 구성키로 했다고 공개한 점으로 미뤄 조만간 빈 채널이 열릴 것으로 관측된다.

김민서 기자 spice7@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