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12일 발표된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중 가장 비싼 곳은 서울 중구 충무로1가 화장품 매장인 '네이처리퍼블릭' 부지(169.3㎡)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네이처리퍼블릭 부지는 ㎡당 가격이 작년 9130만원에서 1억8300만원으로 두배(100.4%) 증가했는데요. 이곳은 2004년부터 16년 연속 전국 표준지 중에서 최고 비싼 땅이라는 타이틀을 수성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2위는 명동2가 우리은행 부지(392.4㎡)로, 8860만원에서 1억7750만원으로 역시 2배(100.4%) 상승했습니다. 땅값 3위인 충무로2가 의류매장 '유니클로' 부지(3001.㎡)는 ㎡당 8720만원에서 1억7450만원으로 100.1% 뛰었는데요.
원래 서울 명동과 충무로 일대 화장품·의료 매장 밀집지 상가 부지가 전국 표준지 상위 10위를 싹쓸이해 왔는데요. 올해는 상위 1위부터 8위까지 이 지역 토지 공시가격이 모두 작년보다 2배가량 올랐습니다.
충무로 유니클로 부지 다음으로는 같은 동네의 화장품 가게 '토니모리'(71㎡)가 8540만원에서 1억7100만원으로 100.2%, 명동2가 'VDL' 화장품 판매점(66.4㎡)이 8360만원에서 1억6750만원으로 100.3% 상승하며 4·5위를 차지했습니다.
상위 10권 중에서 작년 대비 상승률이 100%를 넘기지 못한 곳은 9위 충무로1가 아이오페(50.7%)와 10위 명동1가 탑텐(35.0%) 부지밖에 없었는데요.
초고가 상위 1∼8위 모두 100%대의 비슷한 상승률로 공시가격이 오른 것을 놓고 정부가 초고가 표준지 공시가격을 정할 때 감정평가사에게 상승률 지침을 내린 게 아니냐는 논란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정부는 "중심상업지 등지의 ㎡당 추정 시세 2000만원 이상 고가토지에 대해 현실화율을 개선해 가격 형평성을 높였을 뿐"이라며 "인위적인 지침을 내리지는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초고가 표준지 공시가격 산정할 때 감평사에게 지침 내렸다? 정부 "사실과 달라"
이처럼 올해 공시지가가 11년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하면서 가뜩이나 위축된 상가 시장이 더 침체에 빠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적지 않은 상황입니다.
가뜩이나 경기가 어려워 상인들의 매출이 감소하고 있는데 공시지가 인상이 보유세 부담으로 이어지면서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걱정을 하고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수익형 부동산은 보유세를 감안하면 실질 수익률이 하락하게 되고, 최근 경기침체까지 겹쳐 전반적으로 수요 둔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공시지가 인상이 상가 시장에는 일종의 악재라고 진단하고 있습니다.
상가정보연구소가 한국감정원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 중대형상가의 연수익률은 4.19%로, 전년(4.35%) 대비 0.16%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소규모 상가의 연수익률은 3.73%로 전년(3.91%) 대비 0.18%포인트 떨어졌는데요.
주요 상권 상인들 사이에는 이번 공시지가 인상이 임대료 인상 요구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하는 모습도 엿보입니다. 최근 경기 불황으로 임대인이 섣불리 임대료를 올리기도 어렵다는 반론도 나오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상권이 활성화된 인기 상업지역에서 발생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라는 게 중론입니다.
명동이나 강남 등 인기지역 상가·건물 임대인이 보유세 상승분을 임대료에 전가해 상인들의 임대료 부담이 커지면서 기존 상인들이 쫓겨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임대인 세금 인상분 임차인에게 전가?…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이견
실제 성동구는 지난달 표준지 공시지가 의견청취 기간에 성수동 일대 서울숲길과 상원길, 방송대길 등지의 표준지 35개에 대해서는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가능성이 있다며 공시지가를 낮춰달라고 정부에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영등포구도 최근 정부에 '공시지가 인상이 점진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는데요. 영등포구의 공시지가는 전년 대비 19.86% 상승했으며, 이는 서울에서 강남(23.13%), 중구(21.93%)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상승률입니다.
전문가들은 공시지가 상승으로 보유세 부담이 크게 늘어나는 곳에서는 장기적으로 임대료가 전가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합니다.
이렇게 임대료가 상승할 경우 인상분 감당이 어려운 상인이나 업종은 퇴출될 수밖에 없어 장기적으로는 해당 상권이 위축될 수도 있는데요.
연이은 경기 침체로 빈 상가가 늘어나고 있어 당분간 보유세 인상이 임대료 전가로 이어지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요즘 명동 일대 상점이 장사가 잘 안돼 기존 상인들은 나가려고 고민하고 있지만, 새로 들어오려는 상인은 별로 없어 임대료 인상이 말처럼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귀띔했습니다.
|
12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서 내려다본 영동대로 일대 모습. 강남구는 영동대로 개발 계획 등으로 공시지가가 23.13% 올라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
4월 발표될 아파트 공시가격 인상이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인상된 공시지가가 적용된 보유세 과세 기준일인 6월 이전 수억원의 호가를 낮춘 급매물이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입니다.
올해 공급되는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도 중요 변수 중 하나입니다. 올해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이 재건축 등으로 사라지는 멸실 물량보다 많아지는데요.
전문가들은 아파트 등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발표되는 4월을 기점으로 매도세가 강해질 것이라며 다주택자가 세 부담 증가로 매물을 주택시장에 내놓을 공산이 크다고 분석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세계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