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미래교육' 현장보고서] / 세계일보, 교육 전문가 등 설문조사 / 입시 위주·획일적 학교교육에 / 2명 중 1명 “부정적이다” 응답 / 미래교육에 가장 큰 영향 요인 / 저출산·고령화 64.5%로 ‘1위’ / 국가교육위 설치 73%가 “필요”
교육전문가와 재계 관계자, 청년창업준비생 2명 중 1명은 현재 한국 교육으로는 4차 산업혁명에 걸맞은 인재를 육성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에 적합한 인재를 육성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은 10명 중 1명에 불과했다. 또 응답자 73%는 중장기 미래교육을 제대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중립적인 국가교육위원회 설치가 필요하다고 봤다.
세계일보 취재팀은 지난 2일부터 10일간 교육을 담당하는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국회의원, 학부모·교사단체·대학교수 등 교육전문가, 5대그룹 인사 및 산하 연구소 4차 산업혁명 전문가, 경제단체, 청년창업사관학교 9기 입교생 등 총 121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과 미래교육’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했다.
조사 문항 중 ‘학교 교육이 4차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인재를 길러낼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14%)와 ‘동의하지 않는다’(38%) 등 부정적인 응답이 52%에 달했다. ‘매우 동의한다’(3.3%)와 ‘동의한다’(8.3%)는 응답은 11.6%에 불과했다. 보통이라는 응답도 36%였다. 부정적인 응답을 한 이들이 주관식으로 답변한 내용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단어는 ‘입시 위주’ ‘획일’ 등이었다.
미래 한국 사회에 불어닥칠 변화 중에서 교육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요인으로는 저출산·고령화가 64.5%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정보통신기술혁명(61.2%) △일자리(49.6%) △사회양극화(27.3%) △세대 간 가치관 변화(19%) △글로벌화(12.4%) △에너지·환경(10.7%) △남북관계(9.9%) 순이었다.
이 같은 결과는 저출산으로 학령인구가 급감하는 위기의식에 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학령인구 감소로 현재 대학 입학정원 49만명이 유지될 경우, 4년 뒤인 2023년에 약 9만9000명의 정원 미달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한 중장기 미래교육을 위해 국가교육위원회가 필요한가’라는 질문에는 동의한다는 비율이 73.1%에 달했고, 동의하지 않는 비율은 7.6%에 불과했다. 보통은 19.3%였다.
앞서 국가교육회의가 지난해 12월 전국의 학생, 학부모, 교직원, 일반 시민 등 107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77%가량이 국가교육위 설치에 동의하고, 국가교육위가 중장기적인 교육방향 설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결과가 나왔다.
김진경 국가교육회의 의장은 세계일보 인터뷰에서 “온라인 교육혁명으로 교실과 캠퍼스는 점점 사라지는 등 세계 교육현장이 빛의 속도로 변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한국의 교실은 공장노동에 익숙한 산업사회의 훈육 시스템에 맞춰 획일적으로 만든 일괄감시체제 그대로여서 다양한 교육이 불가능하다”라고 지적했다. 김 의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창의력과 통합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공간의 혁신이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