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은 추억 속에 유독 자주 등장하는 요소다. 술을 마시고 실수도 하고 고백도 했으며, 헤어진 연인에게 전화해본 아픈 추억도 있다. 멀쩡한 상태에서는 고백도, 옛 연인에게 전화도 하지 않는다는 것. 오직 술에 취해야만 무엇인가 용기가 생긴다. 도대체 술은 무엇이길래 이러한 감정을 가지고 올까?
흥미롭게도 알코올은 흥분제가 아닌 진정제 또는 억제제이다. 학자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디 엔자이어티 솔루션’이라는 문헌에 따르면 알코올은 바로 세로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억제한다. 이 세로토닌의 대표적인 역할은 뇌의 호르몬 콘트롤이다. 바로 행복전달물질인 도파민과 흥분 전달물질인 아드레날린, 그리고 신체적 아픔을 감쇄해주는 엔도르핀이 그 대상이다. 한마디로 세로토닌이 집안의 규율을 이끌어 나가는 부모이라면, 아드레날린·도파민·엔도르핀 등은 그 관리하에 있는 자녀들인 것이다.
여기서 알코올이 들어가면 세로토닌의 역할은 작아지고, 결국 행복과 흥분과 아픔을 감쇠해주는 호르몬이 증가된다. 그래서 술을 마시면 도파민으로 기분이 좋아지고, 아드레날린으로 흥분과 용기가 동시에 나며, 엔도르핀의 역할로 아픈 곳도 안 아프게 느껴진다. 덕분에 우리는 음주를 통해 용기를 내서 고백하기도 하고, 옛 연인에 대한 그리움과 미련도 더욱 커지는 것이다. 한마디로 감정에 솔직해지는 것이다.
명욱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 명욱 주류문화 칼럼니스트는…
숙명여대 미식문화최고위 과정, 세종사이버대학교 바리스타&소믈리에학과 객원교수. SBS팟캐스트 ‘말술남녀’, KBS 1라디오 ‘김성완의 시사夜’의 ‘불금의 교양학’에 출연 중. 저서로는 ‘젊은 베르테르의 술품’ ‘말술남녀’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