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평등지수 소폭 올랐지만 ‘유리천장’ 여전

2018년 지수 1.2점 올라 72.9점 기록 / 대학 진학률 등 ‘완전 평등’ 근접 / 여성 사회 참여는 60점대 머물러 / 민·관 고위직 비중 22.9점, 18.6점

국가성평등지수가 꾸준히 상승했음에도 여성의 ‘사회참여’ 영역은 여전히 60점대에 머무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국회의원, 4급 이상 공무원 및 민간기업 관리자처럼 사회에서 핵심적인 의사결정 권한을 가진 분야에서는 성평등지수가 20점 안팎에 머물렀다.

여성가족부는 2018년 기준 국가성평등지수와 지역성평등지수 측정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국가성평등지수는 72.9점으로, 전년보다 1.2점 올랐다. 지역성평등지수도 75.7점으로 1년 새 1.3점 상승했다. 여가부는 국가와 시·도의 성평등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부터 매년 성평등지수를 조사해 발표해왔다. 100점이면 완전한 성평등, 0점은 완전한 성불평등 상태를 뜻한다.



국가성평등지수의 각 영역별로는 여성의 인권·복지(80.0점), 성평등 의식·문화(75.2점) 영역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사회참여(66.6점)는 미흡했다.

사회참여를 구성하는 10개 지표 중에서도 가장 뒤떨어지는 지표는 국회의원과 4급 이상 공무원 성비다. 국회의원 성비 점수는 2017년 19.9에서 지난해 19.8로 0.1 하락해 유일하게 후퇴했다. 여가부 관계자는 “국회의원 성비 자체는 변화가 없지만, 점수 산출식에서 분모로 들어가는 인구추계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즉, 전체 인구 성비에서 여성이 늘어난 데 비해 국회의원 성비는 그대로여서 점수가 내려갔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를 고려하더라도 국회의원 성비는 2013년 이후 개선이 가장 더딘 축에 속했다. 4급 이상 공무원에서도 여성의 비율이 6.2%에 불과해 점수로는 18.6점을 받았다. 국가성평등지수 총 25개 지표 중 최하점이다.

민간기업 관리자 성비도 22.9점으로 국회, 정부와 별 차이 없었다. 주요 의사결정 분야에서 여성의 입지는 ‘100점 만점에 20점’에 불과한 셈이다. 이 밖에 육아휴직 성비(21.7점), 가사노동시간 성비(28.2점)도 성불평등이 심각했다.

이에 비해 고등교육기관 진학률 성비(100.0점)와 직업교육훈련 경험률(92.6점) 같은 교육·직업훈련 분야와 건강관련 삶의 질 성별 격차(98.2점), 건강검진 수검률 성비(97.0점) 등 보건분야는 완전 성평등에 가까웠다.

지역성평등지수는 상위, 중상위, 중하위, 하위 4단계로 나눠 분석한다. 상위지역은 대구, 대전, 부산, 제주(가나다 순), 하위지역은 경남, 경북, 전남, 충남으로 나타났다.

 

윤지로 기자 kornyap@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