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아베 ‘솔직한 대화’ 공감… 백색국가·지소미아 해법 주목

韓·日 정상 무슨 얘기 나눴나 / 文 “갈등 풀고 미래지향적 재설정 / 양국 머리 맞대 해결안 도출 기대” / 아베 “韓·日, 韓·中·日 연대 매우 중요” / ‘강제동원’엔 한국 전향적 결단 요구 / 靑 “협상기한 길어질 수는 없을 것”

15개월 만에 정상회담 테이블에 마주 앉은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24일 공통으로 강조한 것은 ‘솔직한 대화’였다. 지금과 같은 한·일 관계에 대해선 두 정상 모두 바람직하지 않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어떻게든 한·일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에서 “오늘 아베 총리와의 회담이 국내외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며 “우리는 그 기대가 무엇인지 잘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일 갈등을 해소하고 미래지향적인 관계로 재설정하라는 국민 요구를 거듭 강조한 것이다. 그러면서 “양국 간 현안을 해결하려면 직접 만나서 솔직한 대화를 나누는 것이 가장 큰 힘”이라며 “양국이 머리를 맞대어 지혜로운 해결 방안을 조속히 도출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4일 중국 청두 샹그릴라 호텔에서 정상회담 전 악수를 나누고 있다. 뉴시스

아베 총리도 “문 대통령과는 여러 차례 국제회의에서 만났는데 오늘 오랜만에 회담을 한다”며 “일·한 양국은 서로에게 중요한 이웃 나라로서 북한 문제를 비롯해 안전보장 문제에서 일·한, 일·미·한 연대는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중요한 일·한 관계를 개선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솔직한 의견 교환을 할 수 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대화는 시작됐지만 이날 서로의 입장 차이를 확인하는 선에서 사실상 끝난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기자들과 만나 “(두 정상 모두) 언론 보도를 통한 것 외에 서로 직접 육성으로 당사국 입장을 말하고 상대방의 설명을 듣는 자리였다”고 말했다.

강제동원 문제는 두 정상 간 의견이 충돌한 대표적인 이슈였다. 문 대통령은 대법원의 판결을 존중한다는 기존 정부의 입장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달리 아베 총리는 한국의 전향적인 결단을 거듭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지난 23일 중국 방문 직전 기자들과 만나 “일·한 청구권 협정은 일·한 국교 정상화의 전제이자 일·한 관계의 근본”이라며 “문 대통령에게 조선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를 포함해 일본의 생각을 확실히 전하겠다”고 말했다. 강제동원 문제가 풀리지 않으면 한·일 관계의 원상회복은 어렵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청와대는 두 정상이 회담을 가졌다는 데 의미를 두고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앞으로 이런 만남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대화로 풀어나가자는 데 양 정상이 합의해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도 지난 20일 브리핑에서 한·일 정상회담 개최 사실을 공개하면서 “그간 양국 관계 어려움에 비춰 개최 자체에 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4일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 환담에서 한·일 문제를 대화로 풀어가자는 데 의견을 모은 이후 일본은 반도체 소재인 포토레지스트를 특정포괄허가 대상으로 변경하는 포괄허가취급요령으로 일부 개정령을 공시했고, 한국은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조건부 종료 유예 결정을 하면서 한 걸음 물러선 상황이다. 시간을 조금 더 확보하고 대화를 통해 이견을 좁혀나간다는 의미에서 이번 회담이 성과가 없다고 할 수 없다는 주장도 나온다.

마주앉은 韓·日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4일 중국 쓰촨성 청두 샹그릴라호텔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청두=연합뉴스

청와대는 협상의 시간이 얼마나 남았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구체적인 (협상) 기한을 말할 수 없지만 그냥 무작정 계속 길어질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어느 정도 기한 안에는 (수출규제 문제가) 풀려야 한다는 것에는 한·일 양국이 다 인지하고 있다”고만 말했다. 협상이 지지부진하게 진행될 경우 일본의 수출규제도 다시 강화될 수 있고, 우리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문제도 다시 검토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청두=김달중 기자, 도쿄=김청중 특파원 dal@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