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난히 참사와 재해가 많았고 국가 간, 세력 간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던 2019년을 훌훌 떠나보내며 희망과 화합으로 가득한 2020년을 기대하는 성탄 전야에 벌어진 대구 일가족의 극단적 선택은 우리 모두의 가슴을 다시 한 번 먹먹하게 한다. 특히 이번 사건은 2020년 현금지원 복지예산이 54조원에 달하는 상황임에도 최근 6개월간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가족단위의 사망이 계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의 그늘이 생각보다 더욱 깊어져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가족은 가장 오래된 사회제도이자 문화현상이며 개개인의 삶의 원천이 되는 혈연공동체이다. 어려운 일이 있을 때 가족에게 서로 의지하고 공감하는 것은 인류 역사를 통해 변치 않고 전해 내려오는 근본 가치이다. 하지만 이어지는 가족단위의 비극은 부모가 사회 공동체나 공적 제도의 지원을 통해 가족의 삶이 앞으로 개선되기 어렵다고 생각했을 때 내린 잘못된 판단의 결과로 보인다. 즉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지 못하는 복지정책의 불완전성과 자녀를 존중받아야 할 동등한 인격체라고 생각하기보다는 부모의 ‘소유물’로 여기는 가부장적이고 전근대적인 사고가 결합되어 나타난 사회적 병리현상이다.
이러한 가족단위의 사망은 일면 부모의 애틋한 마음으로 바라볼 수도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녀의 삶을 결정해버리는 부모의 행동이 결코 정당화될 수는 없다. 아동학대처벌법과 같은 법적 제도가 마련되어 있기는 하나 부모의 그릇된 생각을 막을 수 있는 직접적 조치로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경제적으로 취약한 가정에 이러한 비극이 일어날 가능성을 염두에 둔 사회적 지원 서비스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가족가치를 되살리는 복지가 시행되어야 한다. 취약가정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 상담이나 심리치료, 가족의 가치를 고양하는 공동체 프로그램 참여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가족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생활의 곤란을 극복하는 힘은 결국 가족에게서 나옴을 공감하게 하는 포용적 복지제도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도 큰 시점이다.
김중백 경희대 교수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