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의 노출 콘크리트 벽면 가득 채운 그림 ‘미술관 밖 미술’

캔버스가 된 부산 영무파라드호텔
그라피티 아티스트 심찬양 작가의 한국 전통의상 입은 앳된 흑인 소녀
‘워크 인 유어 슈’ 역지사지 주제 표현
제이플로우 ‘산책’ 구헌주 ‘부산호’ 등 과거 ‘낙서’로 해석됐던 그라피티 진화
4개층 높이의 보이드 공간 3곳에 전시
심찬양 ‘워크 인 유어 슈’ (Walk in your shoe)

색동의 비단 신발에 버선발을 넣고 있는 모습이 조심스럽다. 황금빛 자수가 빨간 치맛자락 위에 반짝거린다. 이 사람은 누굴까. 고개를 들면, 앳된 흑인 소녀가 설레듯 미소 지은 얼굴로 우리를 내려다보고 있다. 작품명 ‘워크 인 유어 슈’(Walk in your shoe). 한국 전통 의상을 입은 흑인 소녀라는 ‘반전’과 역지사지를 영어로 표현할 때 상대의 신발을 신는다는 관용어(put yourself in someone else’s shoes)에서 착안해 작가의 주제의식을 표현했다. 이 작품이 놓인 공간은 미술관이 아닌 한 호텔 벽면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대형 공공미술관들이 휴관하거나 인원 제한을 두면서 미술을 가까이 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한편에선 이 같은 ‘미술관 밖 미술’이 늘어나면서 관람객을 기다리고 있다.



부산 해운대에 위치한 영무파라드호텔은 최근 문을 열면서 4개층 높이의 보이드 공간 3곳의 노출 콘크리트 벽면을 작가들의 그림들로 채웠다. 보이드 공간은 비어있는 공간을 뜻하는 건축 용어다. 이 호텔의 타워주차장이 호텔 내부와 만나는 이 빈 공간의 벽면이 캔버스가 된 셈이다.

‘워크 인 유어 슈’를 그린 작가는 그라피티 아티스트 심찬양 작가다. 미국에서 ‘로열도그’(royal-y-dog)라는 예명으로 더 유명한 그는 한국과 미국을 오가며 이 같은 그라피티 아트를 보여주고 있는 선두주자다. 2016년 로스엔젤레스에서 한복을 입은 흑인 소녀를 그린 ‘흔들리며 피는 꽃’, 지난해 미국 시카고에서 한복을 입은 미셸 오바마를 그린 작품 등이 현지에서 극찬을 받았다. 한복을 입은 흑인 벽화들은 이제 그의 상징이 됐다.

마침 그가 주로 활동하는 LA의 한 호텔에 LA폭동 30년을 맞아 화해의 메시지를 담아 선보이려던 작품이었는데, 코로나19로 예기치 못하게 한국에 장기간 머물게 되면서 부산에서 작업하게 됐다. 한국에서 흑인 어린이 모델로 활동하고 있는 벨라와 디자이너 박술녀의 한복이 주 소재로 자리잡으면서, 그림은 한층 세련된 모습으로 발전했다.

구헌주 ‘부산호’

이외에도 한국 1세대 그라피티 아티스트 제이플로우의 ‘산책’과 부산을 대표하는 그라피티 아티스트 구헌주의 ‘부산호’도 눈길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

제이플로우 ‘산책’

‘산책’은 그가 한국을 대표하는 정통 그라피티 아티스트다운 스프레이 그림의 역동성과 강렬함이 뚜렷하다. 그라피티 본연의 매력을 보여준다. ‘부산호‘는 바다를 앞에 두고 가파른 산자락 경사면에 형성된 부산만의 독특한 마을 풍경이 주는 아름다움을 그려냈다. 부산에 대한 작가의 애정어린 시선이 느껴진다.

한 베테랑 큐레이터는 “그라피티는 과거 낙서, 문자 중심이었지만 이제 표현 대상은 그림 중심으로, 표현 양식도 그 어느 회화작품 못지않게 극사실적이거나 세밀한 묘사로 다양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스프레이로 주로 문자를 그리고 도망가고 지워지며 낙서로 해석됐던, 예술보다는 문화활동이었던 그라피티에 새 장이 열리고 있는 셈이다. 오히려 미술관 밖이기 때문에 가능한 이 작품들은 진화를 거듭하며 변방이나 예외가 아닌 또 하나의 미술이 되고 있다.

 

부산=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