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전세계 전파로 많은 이들이 숨지고 있는 현실은 단기간에 과학과 의학이 해결하지 못하는 대표적 난제다. 우리는 새롭게 변형된 질병과 바이러스에 인류가 얼마나 무지하고, 또 취약한지 깨닫고 있다.
지금까지 코로나19가 미치는 심각한 위해성을 감안해 이에 대한 연구는 공중보건 일선에 있는 의학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전파 초기만 하더라도, 백신이나 치료제를 곧 개발할 수 있다는 희망적인 메시지가 다양하게 쏟아졌다. 그러나 반년 이상 코로나19 사태가 계속되는 가운데 항체가 생성되어도 오랫동안 지속할 수 없다는 보고와 연구 결과가 동시 나오는 등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최근 들어 과학자들은 코로나 바이러스의 ‘공기 중 전파’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보통은 감염자의 입을 통해 비말과 같이 비교적 큰 입자에 담긴 바이러스가 공기로 배출되거나, 비말이 직접 또는 음식물 등을 거쳐 간접적으로 다른 이의 입이나 코, 눈을 통해 전달되는 일반적 경로(mouth-to-mouth transfer)를 거친다. 비말은 이른 시간 내 공기 중에서 사라지는 데 반해 공기 중 전파는 오랜 기간 체류하면서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는 미세 혹은 초미세 입자 영역의 전파를 의미한다. 아직 더 많은 실험과 증명이 필요한 부분이긴 하지만 이러한 가능성이 실제 한다면, 코에서 코를 통한 전염(nose-to-nose transfer)과 같이 통제 불능에 가까운 상황을 시사한다. 즉 감염자가 입을 닫은 채 비말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황에서조차 코를 통한 날숨 형태로 바이러스의 배출과 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이는 대화를 나누지 않아도, 단순히 주변에 감염자가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코로나19의 전파가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김기현 한양대 교수·건설환경공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