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무기 이야기] <29> 해병대 무기 ② 스파이크 미사일

北 연평도 도발 후 도입… 한 발당 가격 3억원
산·갱도에 숨어 있는 목표물 정밀 타격
최대 사거리 25㎞… 수십㎝ 표적도 파괴

1950년 6·25전쟁 초기 군은 T-34 전차를 앞세운 북한군에 속수무책이었다. 전차 한 대 없던 군은 57㎜ 대전차포를 쐈지만 파괴하지 못해 공포에 떨어야 했다. 결국 미군으로부터 3.5인치 바주카포를 지원받은 후에야 ‘전차 공포증’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군이 토우, 메티스M 대전차미사일을 대량 도입한 것도 6·25전쟁 당시의 경험과 무관치 않다는 평가다.

 

2013년 연평도와 백령도에 배치된 스파이크 대전차미사일은 우리 군이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것보다 우수한 성능을 갖고 있다. 이스라엘에서 개발한 스파이크 미사일은 사수가 화면을 보면서 미사일을 유도하는 방식을 사용, 산이나 갱도 등에 숨어 있는 목표물을 정밀 타격할 수 있다. 보병이 가볍게 운반할 수 있는 버전은 사거리가 수백m 정도에 불과하지만, 헬기나 차량 탑재가 가능한 버전은 최대 25㎞까지 날아간다. 전차나 지대공미사일 사거리 밖에서 미사일을 발사한다는 개념을 적용한 결과다. 최강의 대전차미사일로 평가받는 미국산 헬파이어와 성능은 비슷하면서도 가격은 저렴해 세계시장에서 약 3만발이 판매됐으며, 아프간 전쟁에서 영국군 등이 사용했다.

 

군은 2010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도발 직후 스파이크 미사일 도입을 결정했다. 서북도서를 위협하는 북한 해안포를 정밀타격하기 위해서였다. 백령도와 연평도에 배치된 K-9 자주포로는 정밀 타격이 불가능했고, 공군 F-15K나 KF-16 전투기는 출격에 소요되는 시간 때문에 즉각적인 대응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스파이크 미사일은 이 같은 문제점을 보완해 서북도서를 지키는 해병대의 대북 타격능력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군이 들여온 미사일은 비가시선(NLOS) 버전으로 최대 사거리는 25㎞이며 한 발당 가격은 약 3억원에 달한다.

 

전자광학(EO)과 적외선영상장비(IIR)를 이용해 목표물을 정밀타격할 수 있고, 야간사격도 가능하다. 수십㎝ 크기의 작은 표적도 파괴한다. 사거리가 매우 길어 사수는 안전한 곳에서 미사일을 쏠 수 있다. 미사일 발사 직후에도 비행을 통제할 수 있어 표적을 잘못 인지했거나 상황이 급변했을 때 미사일의 목표를 바꿀 수 있으며 지면으로 떨어뜨리는 것도 가능하다.

군 당국은 서북도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미사일 전용 차량을 별도로 확보했다. 도입 초기에는 발사대를 겸하는 차량의 흔들림 현상으로 시험발사에서 목표물을 놓쳐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는 개선된 상태다.

 

9·19 군사합의 직후 북방한계선(NLL) 일대에서 군사적 긴장은 완화됐으나 북한은 여전히 수백문의 해안포를 운용 중이다. NLL에 다시 긴장이 고조됐을 때 서북도서에 배치된 스파이크 미사일은 북한 해안포의 움직임을 견제하는 데 핵심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박수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