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한 택배 기사가 집에서 죽은 채 발견되었다. 과로사였다. 이 가슴 먹먹해지는 사건으로 날마다 400여개 물량을 새벽까지 배송하는 택배 기사들의 살인적인 노동 현실이 사회 문제로 떠올랐다. 택배 물량이 증가한 것은 비대면 방식의 일상화가 부른 불가피한 현실이다. 택배 기사의 노동 시간이 늘고, 올해만 13명이 과로로 목숨을 잃을 만큼 노동 강도가 세졌다. 택배 기사는 특수 고용형태 근로종사자로 산재보험 대상이지만, 안타깝게도 많은 이들이 이 혜택을 받지 못한 채 제 목숨을 걸고 일한다.
노동의 범주와 형태는 넓고 다양하다. 노동을 한마디로 규정하기란 쉽지 않다. 파리의 에펠탑도, 중국의 만리장성도, 인도의 타지마할도 노동의 산물이다. 노동은 인간이 먹고살기 위한 활동들, 즉 밭을 일구고 가축을 돌보는 일이고, 빵을 굽고 거리를 청소하는 것이며, 거래와 계약을 맺고, 집안을 건사하는 행위다. 더 간단하게 말하자면, 어떤 현상의 변화를 가져오려고 자기 시간과 신체 에너지를 투여하는 행위다. 물건을 이곳에서 저곳으로 옮기는 일은 가장 단순하고 원시적인 노동이다. 택배 배송이 이에 해당한다. 건설 현장이나 공장은 물론이거니와 기업, 공항, 병원, 쇼핑몰에서 일하거나 소설가나 자영업자나 장의업자가 다 노동자다. 글을 써서 나오는 수입에 기대어 사는 나는 ‘문장노동자’라고 분류할 수 있겠다. 한 새내기 국회의원은 자신을 ‘입법노동자’라고 불렀다.
현대사회에서 가장 흔한 형태의 노동은 기술과 숙련된 노동, 자기 시간을 임금과 맞교환하는 일이다. 이때 노동자는 고용주와 계약을 하고 자기를 맡긴 ‘복종적 주체’다. 후기 근대 사회에 나타난 노동자는 ‘성과주체’로 불리는 사람들이다. 재독 철학자 한병철은 ‘피로사회’에서 이들을 “자기 자신을 경영하는 기업가”라고 부른다. 이들은 누구의 강요 없이 일하며, 성과를 내려고 자기를 다그친다. 이런 맥락에서 성과주체는 자신을 향한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다. 성과주체로 나선 노동자는 타자가 강제하는 의무를 지는 대신 자유의지와 자기 선택을 존중하고, 쾌락과 즐거움에 따른다. 철학자가 진단하는 오늘날 죽음으로 번지는 ‘피로사회’는 모든 이들이 성과주체로 나서서 자기 착취를 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