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는 ‘화합과 포용’의 메시지로 최악의 코로나19 팬데믹에 지친 미국의 유권자들에게 다가갔다. 그는 선거전 막바지까지 코로나19 확산 사태를 우려해 델라웨어주 자택에 칩거하면서 유권자의 눈에 보이지 않는 선거 운동을 계속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 폭스뉴스 등 보수 매체는 이달에 만 78세가 되는 바이든이 체력과 정신력 면에서 대통령직을 수행할 수 없을 것이라며 ‘벙커에서 나오라’고 줄곧 조롱했다. 민주당 내부에서도 바이든의 칩거식 선거 운동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그러나 대선일이 다가오면서 미국은 코로나19 수렁에 갈수록 깊게 빠져들었다. 대선 직전 연일 신규 확진자 신기록을 경신하고, 미 유권자는 장기화하는 영업 중단과 실직으로 생계 위협에 직면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는 이미 코너를 돌아섰다’고 다독였지만 허사였다.
트럼프는 코로나19로 시작해 코로나19로 끝난 선거전을 치렀다. 미국이 세계 최악의 코로나10 피해국으로 전락함에 따라 트럼프는 그 책임론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중국에 책임을 떠넘기고, 유럽의 여러 나라도 미국 못지않은 피해를 보고 있다고 강조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신음하는 유권자를 달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트럼프의 대선 유세장이 코로나19의 슈퍼 전파 행사라는 비판을 받았으나 전통적인 대중 유세를 끝까지 고집했다. 그가 세몰이에는 성공했지만, 집회 참가자들이 대체로 마스크를 쓰지 않고, 사회적 거리 두리를 무시해 비공화당 성향 유권자들의 강한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트럼프는 코로나19 방역 실패에 함몰돼 집권 2기 청사진을 제시하지 못했다. 그가 재선하면 미국이 어떻게 달라질지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막연히 사회주의 정권을 막자는 그의 구호만으로 지지층 외연을 확대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우편투표에 줄곧 반대한 것도 패착이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