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가 났다. 제방이 무너져 물이 넘친다. 누가 대응해야 하나? 현재 정부조직법상 무너지는 제방은 국토교통부, 넘치는 물은 환경부 책임이다. 제방과 물의 관리주체가 분리되어 있다. 제대로 홍수를 막을 수 있을까?
지난여름 섬진강 홍수가 아직도 생생하다. 제방이 무너졌다. 흙탕물이 넘쳐 마을을 덮치고 키우던 소가 지붕 위를 아슬아슬하게 걸어 다녔다. 큰 피해가 발생하였고 정부는 피해 복구를 약속했다. 홍수 주무부처인 환경부 장관은 현장을 다니며 대책을 지시했다. 그러나 환경부 장관이 할 수 있는 일은 실제로 많지 않았다. 홍수 통제나 댐 운영과 같은 물만 관리하기 때문이다. 무너진 제방은 국토교통부 장관이 대응해야 한다. 하천은 국토교통부 소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국토교통부는 홍수 주무부처가 아니다. 환경부는 주무부처이지만 할 수 있는 게 많지 않고 국토교통부는 실제적 대응을 해야 하는데 주무부처가 아니다. 홍수를 담당하는 국토부 중앙조직은 한 개 과에 불과하다. 환경부 장관은 하고 싶어도 할 수 있는 게 없고 국토교통부 장관은 해야 하는데 할 수 있는 조직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18년 물관리 일원화 이후의 상황이다. 수량과 수질로 분리된 물관리 업무를 일원화하였다. 국토교통부의 수량관리 업무가 환경부로 이관되었다. 오랜 세월 동안의 논란이 마무리되었다. 그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가 발생하였다. 수량과 수질을 통합하기 위해 하천과 물을 분리한 것이다. 물은 환경부로 이관하고 하천은 분리하여 국토교통부에 그대로 남겨두었다. 물과 하천은 분리할 수 없다. 역사적으로도 하천과 물의 관리를 이원화한 적은 없었다. 치수이기 때문이다.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치수의 역사는 수천 년에 이른다. 그 역사 속에서 물과 하천은 분리된 적이 없었다. 수량과 수질 통합을 위해 치수는 하천과 물로 분리되었다. 정치적 타협의 결과일 뿐이다.
김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