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군 최고사령관이 쿠데타 이후 첫 TV연설에서 “총선을 새로 치른 뒤 권력을 이양할 것”이라고 밝혔다.
총선 일자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 등 주요 도시에선 계엄령을 뚫고 나흘째 쿠데타 항의 시위가 벌어져 27명이 체포되는 등 연일 시위가 격화하고 있다. 경찰이 시위대에 실탄을 쏴 2명이 중태에 빠졌다는 현지 언론 보도도 나와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군정은 물대포에 이어 경고 사격을 하고 고무탄 및 최루탄까지 발사하면서 유혈 사태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시위가 격렬해지자 만달레이와 양곤 및 네피도 전역, 카친·카야·몬주 일부 지역 등까지 5인 이상 집회 금지 조처가 확대됐다.
1988년 민주화 운동을 이끈 ‘88세대’로 최근 항의 시위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민 꼬 나잉은 성명을 내고 3주 동안 계속해서 총파업을 진행하자며 “미얀마 전역의 시위대가 단결하자”고 호소했다.
서방 민주주의 국가들은 미얀마 군부에 저항하는 미얀마 국민을 지지하고 나섰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미얀마 국민의 평화 시위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네드 프라이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우리는 버마 국민과 함께 서 있으며, 민주적으로 선출된 정부에 대한 지지를 포함해 그들의 평화로운 집회 권리를 지지한다”고 했다. 버마는 군부가 국호를 미얀마로 바꾸기 전 이름이다.
그는 흘라잉 사령관이 “과거 군부와 다를 것”이라고 주장한 데 대해 “애당초 가능성이 없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미얀마 군부의 오랜 우군인 중국을 향해선 “쿠데타 규탄 움직임에 동참하라”고 촉구했다.
뉴질랜드는 미얀마와의 국교를 유예하겠다고 선언했다. 미얀마 정권을 고립시키기 위한 실질적 조치를 내놓은 국가는 뉴질랜드가 처음이다. 저신다 아던 뉴질랜드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 같은 방침을 전한 뒤 “미얀마 군 지도자들의 입국을 금지하고 3050만달러(약 340억원)에 달하는 미얀마 경제지원책 중 군부에 이익을 줄 수 있는 사업은 시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본 정부도 미얀마에 대한 경제지원 중단이나 축소를 검토 중이라고 산케이신문이 보도했다.
일본은 미얀마에 연간 1500억∼2000억엔(약 1조6000억∼2조1000억원) 규모의 경제지원을 하고 있어 미얀마에 압박이 될 수 있다.
윤지로 기자 kornyap@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