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3기 신도시 땅투기 의혹에서 불거진 불씨가 경기주택도시공사(GH) 등 부동산 관련 지방공사로 옮겨붙고 있다.
해당 지방자치단체들은 불똥을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 자체 감사에 돌입했지만,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11일 정부와 정치권에 따르면 최근 정부합동조사단은 경기도 산하 GH를 감찰 대상에 포함하고 직원과 가족이 부당·위법한 특혜를 받은 사실이 있는지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합동수사단은 다산신도시에서 GH 직원과 가족들이 사전 개발 정보를 유출하거나 부당·위법하게 보상받은 사실이 있는지 살펴볼 것으로 전해졌다.
3기 신도시인 남양주 왕숙과 인접해 최근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곳이다. 이곳은 애초 LH가 주축이 돼 택지개발에 나섰지만, 사업성 논란이 일면서 2017년 GH가 475만㎡에 이르는 택지지구 개발사업을 맡았다.
2024년까지 모두 3만2000여가구의 입주가 예정돼 있는데, GH는 민간분양을 제외한 1만9000여가구의 공공분양·장기임대 공급을 책임지고 있다. 전체 공정률은 50% 안팎이다.
경기도와 GH는 지난 3∼4일 자진신고를 받았지만, 3기 신도시 예정지와 택지개발지구에 토지를 보유했다고 신고한 직원은 아무도 없었다. GH 직원들은 현재 개인정보 활용 동의서를 제출하고 국토교통부 감사를 준비 중이다.
최근 3기 신도시 하남 교산지구 내 토지소유주가 GH 직원으로 추정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해명하느라 한 차례 홍역까지 치렀다. 앞서 GH는 광교 신도시 조성이 본격화한 2008년 이후 직원 수십명이 뇌물·금품 향응 등의 비위가 드러나 파면·정직 등 징계조치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GH 관계자는 “다산신도시는 분양 초기 미분양까지 나와 지금처럼 가격이 오를지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다”면서 “국토부 등의 자료 제출 요청에 성실히 임하고 있다”고 전했다.
경기도는 조만간 GH가 지분 95%를 소유한 용인플랫폼시티와 평택 현덕지구, 성남 금토 등 6곳을 자체 조사할 예정이다.
GH에 앞서 직원들의 투기 의혹이 불거진 서울주택도시공사(SH)도 최근 2010년 이후 진행된 사업지를 대상으로 자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대상은 마곡지구, 고덕강일지구 등 총 14개 사업지구다.
이 같은 투기 의혹은 수도권 밖으로 확산되고 있다. 최근 부산연구개발특구로 지정된 부산 강서구 대저1동의 부동산 거래가 급증하면서 부산시도 이날 자체 조사에 착수했다.
강서구 대저1동 연구개발특구 및 공공택지와 주변 지역 총 11.67㎢(약 353만평)의 토지 거래가 대상이다.
정부는 지난달 24일 경기 광명 시흥, 광주 산정과 함께 해당 지구의 1만8000호 공공주택 건설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부산시는 건축 및 개발 관련 부서 전·현직 공무원과 부산도시공사 전·현직 직원 등 550여명을 대상으로, 2016년 1월까지 거래내역을 소급해 살펴볼 예정이다.
해당 지역 토지 거래 건수는 지난해 12월 20건, 올해 1월 40건에서 지난달 92건으로 급증했다. 지난달 토지 거래 금액은 33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배 이상 증가했다.
세종시는 연서면 스마트국가산단에 대해 이날 특별 조사에 나섰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기자회견을 열고 “특별조사단을 구성해 스마트국가산단 1933필지를 대상으로 시 전체 공무원의 부동상 거래 사실과 투기 가담 여부를 전수조사 하겠다”고 밝혔다. 조사대상인 연서면 와촌·부동리 일대는 스마트 국가산업단지로 확정된 2018년 8월31일 이전에 매매가 집중되면서 수십채의 조립식 건물이 들어서는 등 보상금을 노린 부동산 투기 의혹이 최근 제기됐다.
수원·세종·부산=오상도·임정재·오성택 기자 sdoh@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