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드라마 ‘조선구마사’에 대한 역사 왜곡 논란이 짙은 가운데, 기업들이 잇따라 광고를 철회하며 빠르게 손절하는 모양새다.
앞서 지난 22일 첫 방송 된 SBS 드라마 ‘조선구마사’ 1회에는 중국 음식인 월병과 피단으로 추정되는 소품이 등장해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다음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드라마 ‘조선구마사’에 관한 역사 왜곡 논란의 파장이 매우 크다”며 “이미 중국 누리꾼들은 웨이보를 통해 ‘당시 한국의 전형적인 모습’이라며 드라마 장면을 옹호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성 교수는 “특히 최근에는 중국이 한복, 김치, 판소리 등을 자신의 문화라 주장하는 ‘新 동북공정’을 펼치고 있는 와중에 또 하나의 빌미를 제공한 셈”이라며 “이미 한국 드라마는 글로벌화가 되어 정말로 많은 세계인이 시청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훌륭한 문화와 역사를 알리기도 시간이 모자란데, 왜곡된 역사를 해외 시청자들에게 보여서는 안 될 것”이라고 일침했다.
또한 ‘조선구마사’는 단 2회 방영 만에 또 다른 의혹을 불러오고 있다. 이를 집필한 박계옥 작가의 조선족 의혹, 극 중 배우 정혜성의 역할인 도무녀 의상 콘셉트에 대한 지적도 인다.
박계옥 작가는 이전에 tvN ‘철인왕후’를 통해서도 역사 왜곡 논란을 불어온 바 있다. ‘철인왕후’는 중국에서 소설로 출간된 후 제작된 웹드라마 ‘태자비승직기’를 원작으로 했다. 혐한 논란이 인 바 있는 원작자의 작품을 가져온 것과 더불어, 극 중 실존인물인 순원왕후와 신정왕후를 우스꽝스럽게 표현해 질타를 받았다. 또한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조실록을 주인공이 “조선왕조실록도 한낱 지라시네”라고 비하하는 대사도 시청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조선구마사’ 안에서도 무녀 캐릭터 무화의 의상 콘셉트가 중국풍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극 중 ‘국무당 도무녀’라는 설정의 무화는 앞머리를 살짝 둥글게 내린 채 긴 반묶음을 한 긴 머리를 늘어뜨리고 흰색 의복을 입고 있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서 국가과 궁에서 의뢰하는 굿을 담당하는 무녀인 국무당은 과거 드라마 ‘해를 품은 달’이나 조선시대 화가 신육복의 그림 등에서 가채를 쓰고 머리를 묶고 있는 것으로 그려졌으나 ‘조선구마사’에서 그려진 국무당은 중국드라마 속 무녀와 연출이 비슷하다고 시청자들은 지적한다.
논란이 커지자 제작진 측은 먼저 소품 논란에 대해 “명나라를 통해 막 조선으로 건너온 서역의 구마사제 일행을 쉬게 하는 장소였고, 명나라 국경에 가까운 지역이다 보니 ‘중국인의 왕래가 잦지 않았을까’하는 상상력을 가미해 소품을 준비했다”면서 “이는 극 중 한양과 멀리 떨어진 변방에 있는 인물들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정이었을 뿐, 어떤 특별한 의도가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예민한 시기에 오해가 될 수 있는 장면으로 시청의 불편함을 드려 죄송하다. 향후 방송 제작에 유의하도록 하겠다”고 사과의 뜻을 전했다.
그러나 드라마 제작 지원 및 협찬에 참여했던 기업들에 대한 불매 운동 조짐이 나타나자 발 빠르게 광고를 철회하고 있다.
LG생활건강, 안마의자 브랜드 코지마, 에이스침대, 탐나종합어시장, 반올림식품, 뉴온, 광동 비타500 등이 지원을 중단키로 결정했으며, CJ제일제당도 3화부터 광고를 중단하고 전남 나주시도 영상테마파크 장소 지원 계약을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소영 온라인 뉴스 기자 writerksy@segye.com
사진=SBS 드라마 ‘조선구마사’ 방송화면 캡처, 제이와이드컴퍼니, 현대미디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