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사리탑·관아 건물 보물 된다

양주 회암사지 진신사리탑
왕실 불교·석조 미술의 정수

무주 한풍루 ‘중층 관영 누각’
‘한석봉이 현판 썼다’ 전해져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

문화재청은 경기도 유형문화재인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과 전북 유형문화재 ‘무주 한풍루’ 등 2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20일 밝혔다.

회암사지 사리탑은 조선 전기 왕실에서 발원해 건립한 진신사리탑(석가모니 몸에서 나온 사리를 모신 탑)으로 규모가 장대하고,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사리탑의 형식과 불교미술의 도상 및 장식 문양 등 왕실 불교미술의 여러 요소가 담겨 있다.



사리탑은 팔각을 기본으로 구축된 여러 층의 기단부와 원구형 탑신, 상륜부로 구성돼 있다. 팔각형 지대석(지면을 단단하게 다진 후 놓는 돌) 윗면에 기단을 2층으로 구축하고, 다른 승탑에 비해 기단석은 높게, 갑석(뚜껑처럼 올려놓는 납작한 돌)은 두껍게 다듬어 현존하는 사리탑 중 가장 높은 기단을 갖췄다. 또 기단의 각 면에 다양한 장식이 새겨져 있는데 용과 기린, 풀과 꽃무늬, 덩굴무늬, 팔부신중(불법을 지키는 8종의 신)이 하층 기단부터 상층 갑석에까지 꾸며져 있다.

문화재청은 “전체적인 양식과 조영 기법, 세부 문양이 조선 전기 왕릉을 비롯한 왕실 관련 석조물과 비슷하다”며 “조선 전기 석조미술의 정수이자 대표작으로 역사, 학술, 조형적 가치가 크다고 판단된다”고 평가했다.

20일 보물로 지정예고된 무주 한풍루. 문화재청 제공

조선 시대 관아 건물인 전북 무주의 한풍루는 현판을 한석봉이 썼다고 전해지며, 수많은 묵객이 글과 그림으로 풍류를 즐겼던 곳이다. 문화재청은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으나, 15세기에 문신 성임과 유순 등이 한풍루를 보고 쓴 시와 신증동국여지승람 등 여러 기록을 통해 조선 초기부터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임진왜란 때 전소된 이후 다시 건립됐다”고 설명했다.

무주 한풍루는 정면 3칸, 옆면 2칸의 중층 누각 팔작지붕 건물이다. 문화재청은 16~17세기 중수 당시 기둥과 창방(기둥과 도리 사이 도리 밑 긴 부재) 등 주요 나무 부재가 확인돼 진정성 있는 복원이 이뤄졌고, 우리나라에 몇 안 되는 중층 관영 누각으로 17세기 특성이 잘 나타난다는 점에서 역사·건축·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평가했다.

 

강구열 기자 river910@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