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탄소중립’ 시점인 2050년에도 석탄화력발전소를 가동하는 방안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줄이더라도 1억t 이상은 여전히 배출될 것으로 보인다. 이 잔존 배출량은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기술로 흡수해야 될 전망이다.
23일 세계일보가 입수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르면 정부가 검토 중인 시나리오는 2가지다. 탄소중립은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흡수량을 뺀 ‘순배출량’을 0으로 맞추는 것을 의미하는데,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탄소중립위원회(탄중위)를 중심으로 부문별 감축 수단과 감축량 등을 종합한 시나리오를 마련 중이다.
2안은 현재 건설 중인 7기의 석탄화력발전소를 존치하는 방안이다. 석탄을 계속 연소하게 되는 만큼 발전부문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안보다 많은 4620만t으로 전망된다. 농축수산에서도 육류 소비 감소를 통한 직접적 가축 사육 감소보다는 저메탄사료나 저단백질사료 등에 주안점을 두고 추진하게 된다. 이때 온실가스 감축률은 31%다.
두 시나리오에서 2050년 국내 총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안의 경우 1억2710만t, 2안은 1억4490만t이다. 각 부문에서 감축 수단을 최대한 활용해도 줄일 수 없는 잔존 배출량에 대해선 산림이나 바다숲 같은 자연적 흡수원이나 CCUS를 이용하게 된다. 1안은 8500만t, 2안은 9500만t을 CCUS로 제거한다는 계획이다. 자연 흡수원까지 동원하면 최종 배출량은 각각 1800만t(1안), 2580만t(2안)으로 줄어든다.
정부는 탄중위 내부 논의를 거쳐 뒤 산업계와 시민단체,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타운홀 미팅이나 대국민 토론회 등 다양한 방식이 동원될 것으로 보인다. 그 후 최종안을 마련해 탄중위 의결을 거치면 확정된다.
윤지로 기자 kornyap@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