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있는 가구, 매년 하락… 4가구 중 1가구꼴도 안 돼

아동가구 비율, 2019년 23.3% 그쳐
사진=연합뉴스

‘아동’이 있는 가구의 비율이 매년 하락하면서 4가구 중 1가구꼴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통계청의 ‘아동가구 통계등록부’에 따르면 2019년 기준 만 18세 미만 아동이 있는 가구(아동가구)의 비율은 전체 2088만1000가구 가운데 487만3000가구로 23.3%에 그쳤다.

 

아동가구 비율은 2015년 27.9%였으나 2016년 26.9%, 2017년 25.8%, 2018년 24.6% 등으로 매년 떨어지고 있다.

 

전체 인구에서 아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율도 매년 하락세다. 2015년 전체 인구 5106만9000명 가운데 아동인구는 880만8000명으로 17.2%였다. 그러나 2016년 16.8%, 2017년 16.2%, 2018년 15.6% 등으로 지속적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아동가구 가운데 아동이 1명인 가구의 비중은 2015년 49.4%에서 2019년 50.8%로 확대됐다. 같은 기간 아동이 2명인 가구의 비중은 43.1%에서 41.7%로 축소됐다. 3명인 가구의 비중은 6.9%로 똑같았고, 4명 이상인 가구의 비중은 0.7%에서 0.6%로 소폭 축소됐다.

 

전체 아동수는 감소 추세지만 부모 중 한 명 이상이 외국인 또는 귀화자인 다문화부모 아동수는 증가 추세다. 전체 아동 수는 2015년 880만8000명, 2016년 860만9000명, 2017년 835만6000명, 2018년 807만1000명, 2019년 728만3000명으로 감소세다. 이와 달리 다문화부모 아동수는 같은 기간 18만6000명, 21만5000명, 22만2000명, 22만6000명, 23만7000명으로 증가세다. 이에 따라 다문화부모 아동 비중도 이 기간 2.1%, 2.5%, 2.6%, 2.8%, 3.0%로 확대 추세다.

부모가 같이 양육하는 아동의 비율은 2015년 88.2%에서 2019년 87.9%로 0.3%포인트 하락했다. 한부모 양육 아동의 같은 기간 8.2%에서 7.8%로 0.4%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부모와 같이 살지 않고 친척이나 남과 사는 경우, 시설 등에서 사는 경우 등 부모 미양육 아동의 비율은 3.7%에서 4.3%로 0.6%포인트 상승했다.

 

만8세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상용직 부모 중 육아휴직을 한 비율은 2015년 7.2%에서 2019년 8.4%로 1.2%포인트 상승했다. 모의 육아휴직률은 이 기간 19.4%에서 18.5%로 하락한 반면 부의 육아휴직률은 0.5%에서 2.2%로 상승했다.

 

아동가구 통계등록부는 아동을 중심으로 19종 행정자료를 연계한 것으로 이달부터 통계데이터센터를 통해 제공된다. 통계청은 그동안 경제·사회통계 생산에 필수적인 ‘인구가구 통계등록부’, ‘기업 통계등록부’, ‘주택 통계등록부’ 등을 구축해 활용 중이며, 이번에 아동가구 통계등록부를 추가로 작성했다. 이는 심각한 저출산 위기 속에서 기존 ‘가구주’ 중심이 아닌 ‘아동’ 중심의 가구 현황 및 인구사회학적 배경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수요에 따른 것이라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