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남북 간 통신연락선 복원에 전격 합의했다. 이는 북한이 작년 6월 9일 일부 탈북자 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 문제로 모든 통신연락선을 일방적으로 차단한 지 413일 만이다. 북한은 통신선 차단에 이어 6월 16일에는 판문점선언의 주요한 성과 중 하나였던 판문점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다. 남북 정상 간 친서 교환이 4·27 판문점선언 발표 3주년을 전후해 재개되고 통신선이 다시 연결된 것은 장기간 경색 상태에 놓여 있었던 남북관계 개선의 청신호로 환영할 일에 틀림없다. 통신선이 복원되면서 경색 국면이던 남북관계에 숨통이 트이면서 낙관적인 전망들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통신선 복원을 계기로 남북화상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을 거론하는 등 희망 섞인 전망이 제기된다.
하지만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이후 남북관계의 경색을 돌이켜보면 북한이 진정한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통신선 복원에 합의했다고 보기는 아직 이르다. 그보다는 내부적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한 전술적 변화일 가능성이 크다. 제재, 코로나19, 홍수로 인한 북한의 3중고는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북한은 코로나 방역 때문에 자발적 고립을 선택했고, 그 여파로 북·중 교역도 거의 중단되면서 경제적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들어 쌀을 비롯한 생필품 가격과 환율도 크게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가운데도 북한은 전군 지휘관·정치간부 강습을 주재하는 등 내부적으로 체제 단속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세계식량계획(WFP) 등 국제기구 추산에 의하면 북한은 금년에도 곡물 부족분이 50만∼80만t에 이를 전망이지만 수입량은 10만∼20만t 정도에 불과하다. 부족한 분량이 적기에 제공되지 않으면 북한은 금년말 심각한 기아에 처할 가능성이 크다.
남북 통신선 복원이 남북관계에 좋은 징조이긴 하지만 그 의미를 너무 확대해석하는 것은 곤란하다. 통신선 복원은 대북 전단이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했고, 한국정부가 대북전단금지법을 제정하는 것으로 충분한 상응조치가 이뤄졌다고 봐야 한다. 통신선 복원은 북한이 일방적으로 차단했던 통신선을 복원한 것이지 새로운 진전이나 양보가 아니므로 우리 정부가 지나치게 전향적 반응을 보일 필요는 없다. 북한은 개성사무소 폭파, 서해 공무원 피살, 전방위 해킹 공격, 미사일 도발 등에 대한 사과나 발언은 전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