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0억 채권이자 만기 도래… ‘부동산 재벌’ 헝다 파산 위기

못 갚으면 사실상 디폴트 단계
“세계경제 영향 안 클 것” 전망도
파산 위기에 몰린 중국의 대형 민영 부동산 재벌기업인 헝다(恒大·에버그란데)그룹의 선전 본사 사옥의 일부 층에 불이 밝혀져 있다. 선전=AFP연합뉴스

중국 최대 민영부동산 개발업체 헝다(에버그란데)가 23일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 이자를 갚지 못해 사실상 채무 불이행(디폴트) 상황에 처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헝다는 일부 채권 이자를 지급하겠다며 시장 달래기에 나섰지만 채권 이자 대부분에 대한 지급 가능 여부는 불확실하다. 시장에선 유동성 위기를 겪는 헝다의 파산이 ‘중국판 리먼 사태’로 확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함께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엇갈린다.

22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헝다그룹은 이날 성명을 통해 선전증시에서 거래된 2025년 9월 만기 채권 이자를 오는 23일 제때 지급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해당 이자 규모는 2억3200만위안(약 425억원)이다. 하지만 헝다는 2022년 3월 만기 채권의 이자 8350만달러(약 993억원)와 오는 29일 지급일이 도래하는 2024년 3월 만기 채권 이자 4750만달러(약 562억원) 역외 채권 이자 지급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로이터는 “헝다의 디폴트에 대한 두려움 속에 요동치는 시장을 약간 달래는 효과를 낼 것”이라고 전망했다. 채권 계약서상으로는 예정된 날로부터 30일 이내까지는 지급이 이뤄지지 않아도 공식 디폴트로 간주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헝다가 이미 많은 협력업체에 공사 대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못하는 등 극도로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어 결국 디폴트에 처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부동산이 중국의 고속 경제성장에서 한 축을 담당한 상황에서 헝다의 디폴트는 부동산 시장에 큰 타격을 입혀 중국 경제 발전을 제약하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의 채권 애널리스트 저우촨이는 “문제는 헝다가 붕괴하고 있는 것뿐 아니라 다른 중국의 주택 건설업체들이 헝다가 초래한 쓰나미에 익사하고 있다는 것”이라며 “큰 규모의 (채권) 만기가 도래하는 기업에는 향후 몇 달간의 유동성 고갈이 재앙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