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근성 높아지는 환경데이터… 신산업 활용 기대

환경공단 추진 ‘융합 빅데이터 플랫폼’ 주목
민간영역서도 ‘공유 확대’ 반색
활용도 커져 새 정보 생산 전망

정부가 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환경 관련 데이터를 유기적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환경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그동안 정부·공공기관이 폐쇄적으로 관리하던 환경데이터가 플랫폼을 통해 기관 간 공유되면 활용폭이 훨씬 확대되는 한편 추가로 유용한 정보 생산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10일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데이터 연계 허브인 ‘환경정보 융합 빅데이터 플랫폼’이 구축되면 환경데이터 접근성과 활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에는 환경부나 소속 산하기관이 보유한 데이터를 서로 공유할 시스템이 없어 활용도가 떨어졌다.

 

그러나 지난해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법이 시행되면서 기관끼리도 보유 데이터를 타 기관에 제공하지 않던 관행이 깨지고 있다. 데이터 비식별화 조치를 한 다음에는 공유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기존 데이터를 연계·수집하는 플랫폼까지 구축되면 기관 간 정보 공유가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민간 영역에서도 데이터 공유 확대를 반기는 분위기다. 환경공단이 지난달 6∼8일 열린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페스티벌&블록체인 서울’ 방문객 중 3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76명(73.6%)이 ‘환경데이터 서비스가 확대된다면 사용하겠다’고 응답했다. ‘사용하지 않겠다’고 답한 사람은 16명뿐이었고, ‘모르겠다’와 무응답은 각각 76명과 7명이었다.

 

대기환경과 생활환경, 자원순환, 물환경 등에 관심을 보인 응답자들은 ‘미세먼지가 신체에 끼치는 영향’ ‘황사와 대기오염의 상관관계’ ‘생활 플라스틱 절감 운동이 실제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주제로 빅데이터 분석을 하고 싶다고 답했다.

 

환경데이터 접근성이 높아지면 축적된 데이터를 토대로 새로운 정보를 추출하고 활용하는 신산업도 등장할 수 있을 전망이다. 환경부와 환경공단은 2019년부터 환경부와 소속·산하 기관 임직원을 대상으로 공모전을 개최하고 데이터를 분석·활용해 현업을 효율화할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있다.

 

2019년에 의료폐기물용 전자태그(RFID) 정보를 분석해 불법처리하는 의심업체를 예측하고 운반단계에서의 비정상 행위를 선별해내는 아이디어가 최우수 수상작으로 꼽혔다. 지난해에는 멸종위기 식물을 발견하는 데 머신러닝 종분포모형을 활용한 응모작이 최우수상을 받았다.

 

환경공단은 “이 분석모형을 통해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인 세뿔투구꽃 서식지 예측과 잠재서식지 조사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며 “점진적으로 환경데이터의 민간분야 활용이 늘어나게 되면 데이터 활용문화가 더 확산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