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한 스티븐 킹의 글쓰기 책 서두는 이런 말로 시작한다. “글쓰기에 대한 책에는 대개 헛소리가 가득하다. 그래서 이 책은 오히려 짧다.” 그런데 스티븐 킹의 책도 사실상 그렇게 짧지 않다. 오히려 다른 글쓰기 책보다 긴 편이다. 할 이야기가 많았던 탓이다. 그런데 내가 관심을 갖는 것은 ‘글쓰기 책에는 대개 헛소리가 가득하다’는 표현이다. 왜 글쓰기에 관한 책에는 헛소리가 많을까? 글쓰기 책에는 헛소리가 많다면서 스티븐 킹은 왜 굳이 글쓰기 책을 썼을까?
글쓰기 책에 헛소리가 많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글쓰기에 뭔가 확실한 비법이나 해결책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정답이 없기에 여러 작가들은 이런저런 쓰기 비법을 자신 있게 이야기하는 것이다. 그런데 사실 그런 비법들을 보면 무슨 특별한 비책을 담은 것이라기보다 자신의 쓰기 습관에 기댄 지침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접속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란 비결은 사실 옳은 말이라기보다 틀린 말에 가깝다. 논증문 같은 경우 ‘그러므로’나 ’따라서’와 같은 접속 부사를 필요에 따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우리 문장에서는 접속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더 자연스럽게 보인다. 문장이 이어질 때마다 접속사를 사용하게 되면 문장은 오히려 딱딱해지고 어색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