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정부에서 최우선적으로 축소·폐지를 검토해야 할 부처로 교육부가 꼽혔다. 아울러 중앙정부의 기능은 점차 줄여가고 지방정부 역할은 확대하되 정부는 시장이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감독, 지원, 조정 역할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전문가들이 많았다.
3일 한국행정연구원 정부조직디자인센터의 ‘포스트 팬데믹 시대 정부조직 디자인’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조직 관련 전문가들이 꼽은 개편 필요 정부조직 1∼3순위는 ‘교육’과 ‘대통령 직속 위원회’, ‘보건’ 분야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안전과 일반행정 분야는 각각 평점 4.94점과 4.72점으로 상대적으로 개편 필요 목소리가 적었다. 재난안전기능을 재정비해 코로나19 등 각종 자연·사회재난에 대응하고 예방하는 컨트롤타워를 구축해야 한다는 전문가는 24명에 달했다. 다만 현재 기획재정부에서 예산과 재정 기능을 따로 떼내야 한다는 의견을 낸 전문가는 8명에 불과했다.
한편 차기 정부에서 정부 역할과 기능이 현재보다 확대돼야 한다는 의견은 43.4%에 달했다. 현재 수준 유지는 34.0%, 축소는 22.6%였다. 하지만 정부 규모까지 커져야 한다는 의견은 아니었다. 정부 규모에 관한 문항에 확대돼야 한다는 답변은 26.4%에 불과한 반면 축소돼야 한다는 답변은 39.6%에 달했다. 전문가들의 75.5%는 ‘부처 간 유사중복 기능을 적극 통합·조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특히 중앙정부의 경우 국방·외교, 환경, 안전, 사회안전망, 미래산업육성 기능을 제외한 부문에서 그 역할을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45.3%에 달했다. 중앙정부는 민간지원 및 감독, 문제해결조정지원 등에 초점을 둔 역할 수행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반면 지방정부의 역할과 기능이 현재보다 확대돼야 한다는 의견은 75.5%였다.
한편 코로나19 이후 시장과 공공부문의 관계 방향성에 대해 전문가의 50.9%는 시장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공공부문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은 18.9%, 현 수준 유지 의견은 30.2%였다.
홍성걸 국민대 교수(행정학)는 “플랫폼 정부라는 말처럼 이제 정부의 역할과 기능은 대폭 축소돼야 한다”며 “정부의 일하는 방식과 업무 범위를 혁신하는 내용의 공공부문 재구조화가 시급한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