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의 열독률 조사가 물의를 빚고 있다. 한국신문협회, 한국지방신문협회,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등 4개 단체는 그제 공동성명에서 “열독률 조사가 타당성과 신뢰성을 상실했다”며 결함많은 조사를 정부광고 집행의 지표로 삼는 것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정부는 한국ABC협회에서 인증하는 부수 대신 열독률을 올해부터 정부광고 집행기준으로 도입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해 말 성인 5만178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신문사별 열독률과 구독률 조사 결과를 공개했으나 공정성 시비가 끊이지 않는다.
열독률 조사가 표본 선정 등 오류투성이라는 지적이 많다. 신문은 가정(43%)보다 사무실, 상점, 학교 등 영업장(58%) 비율이 높은데 이 조사에서는 영업장이 빠졌다. 이러니 유료구독이 10만부 이상 차이 나도 열독률 순위가 뒤집힌다. 언론재단 측은 가구 방문만을 통해 조사했으면서도 “이용 장소와 상관없이 일주일간 종이신문을 읽은 경우를 조사했으므로 영업장에서 읽은 경우도 포함됐다”고 했다. 억지요 궤변이다. 표본 추출 때 인구를 감안해야 하는데 인구가 가장 많은 경기도의 표본비율은 0.06%로 17개 시·도 중 가장 낮았다. 조사에 반영된 매체도 전국 신문 1676개 중 18%인 302개에 불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