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는 최상층 콘크리트 타설 공사를 하면서 규정을 어기고 동바리(지지대)를 무단으로 철거해 발생한 것으로 경찰 조사에서 드러났다. 또 정상적인 설계 변경 없이 수십t 무게의 ‘역보’(역 ‘T’자 형태의 수벽)를 설치해 건물에 하중을 부과하여 연쇄 붕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 신축아파트 붕괴사고 수사본부는 25일 붕괴된 아파트 201동 39층 바닥 콘크리트 타설 공정 당시 아래 3개층에는 동바리가 설치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현장 작업자들은 경찰 조사에서 현산 현장소장 A씨가 동바리 해체를 지시했다고 진술했다.
시방서 지침을 지키려면 39층 타설 공사 때 이미 철거된 3개층의 동바리를 다시 올려 설치해야 한다. 경찰은 39층 타설 작업을 하면서 동바리를 건물 내로 반입해 설치한 정황은 없었다고 확인했다.
39층 타설 때 아래 3개층의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은 것이 이번 붕괴사고의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게 수사본부의 설명이다.
수사본부는 동바리 조기 철거에 대해 시공사인 현산과 골조 공사를 맡은 하청사 간의 비용을 줄이려는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것으로 분석했다.
공사기간에 쫓긴 HDC현대산업개발은 하루라도 빨리 창호 설치와 조적 공사 등을 하기 위해 아래층 동바리의 조기 철거가 필요했다. 하청업체는 크레인으로 고층부의 동바리를 하역하면 인부를 동원하는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수사본부는 39층의 붕괴된 지점이 무단으로 설치된 ‘역보’ 구간이라는 데 주목했다. 역보는 콘크리트 타설작업 전 슬래브의 원형을 만들기 위해 천장면을 지지하는 수평보다.
39층 아래 PIT층의 높이는 1.5m∼30cm에 불과하다. 공간이 좁아 동바리 등 지지대 설치가 어렵자 콘크리트로 역보 7개를 제작해 39층 바닥 슬래브의 하중을 버티도록 했다. 하지만 역보 자체의 하중이 40∼50t에 달한 데다 철근도 넣지 않아 붕괴의 원인이 됐을 수 있다는 게 수사본부의 설명이다. 역보에 철근을 넣지 않을 경우 구조물이 아니라서 번거로운 설계 변경 승인을 받지 않아도 된다.
경찰은 사고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추정되는 부실시공 등 과실 정황이 구체적으로 나오자 원청인 현산의 책임 규명에 무게를 두고 수사를 벌이고 있다. 이날까지 입건자는 현산 현장소장과 2공구 책임자, 감리, 하청업체 현장소장,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하도급받은 업체 관계자 등 모두 11명이다. 경찰은 드러난 과실 의혹을 집중적으로 추궁하고 구체적인 혐의가 드러나면 적극적인 신병 처리를 할 방침이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이날 오후 6시40분쯤 붕괴사고 현장에서 실종자 한 명을 추가로 발견했다. 지난 11일 사고 발생 14일 만이자 지난 14일 실종자 6명 중 첫번째 실종자를 수습한지 11일 만이다. 실종자가 발견된 곳은 27층 2호실 안방이며 오후 5시30분쯤 실종자의 것으로 추정되는 혈흔과 작업복을 발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