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국군포로 생존자 3명이 그제 방한 중인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을 만나 “국군포로·납북억류자·탈북자 구출에 소극적인 한국 정부를 움직여 달라”는 취지의 청원을 제출했다. 이들은 킨타나 보고관에게 다음달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채택이 예상되는 북한인권결의안에 국군포로와 후손들이 겪는 인권 침해와 국제법 위반 사항을 담아 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킨타나 보고관이 문재인정부를 향해 국군포로 문제 진상 조사와 국제법 위반 분석 보고서를 작성하고, 국가정보원 등에 납북억류자·탈북자 구출을 위한 정보 수집·귀환 지원 업무를 명시할 것을 권고토록 해 달라고 요구했다.
유엔에 따르면 6·25전쟁 당시 국군포로와 실종자는 5만∼8만명 정도로 추산된다. 이 중 8300여명만 귀환했다. 나머지는 억류돼 강제노동 등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 1994년 고 조창호 소위 귀환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80명의 국군포로가 귀환됐지만 자력으로 탈출하거나 인권단체 조력을 받은 게 대부분이다. 그런데도 정부는 정확한 생존자 규모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국군포로 귀환에 최선을 다해도 모자랄 판에 김정은정권 눈치만 보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말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북한인권결의안에는 북한 내 국군포로와 후손들에 대한 인권 유린 문제가 처음 담겼는데도 정부는 결의안 공동제안국에서 빠졌다. 3년 연속 이어진 같은 행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