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 신공항, 기왕에 시작할 거면 화끈하게 예비타당성 조사(예타)를 면제 시키겠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월 부산을 찾아 신공항 계획을 두고 했던 말이다. 가덕신공항을 비롯해 최근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한 새만금신공항은 2019년 정부가 확정한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에 포함됐다. 이들 사업에 대한 정책적·경제적 타당성 검증이 생략됐다는 의미다. 새로운 공항에 대한 ‘갈망’은 전국 각지에서 재현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따라 가덕도, 새만금, 제주 성산읍, 경북 군위·청송(대구경북통합신공항), 울릉도, 흑산도에 새 공항을 건설하기로 했다. 여기에 더해 서산, 백령도, 경기 남부, 포천 등에서는 지자체가 직접 나서 신공항을 검토·추진하고 있다. 이는 장래 항공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과 ‘대형 인프라를 구축하고 국토 구석구석 새 공항을 지으면 경제가 살아날 것’이라는 믿음에 기반을 둔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을 기준으로 전국 15개 공항 중 김포·김해·대구·인천·제주를 제외한 나머지 10곳은 만성 적자를 면하지 못했다. ‘활주로에서 고추·멸치 말린다’는 ‘밈(meme·인터넷 유행 콘텐츠)’을 쉽사리 웃어넘길 수 없는 이유다. 항공기는 운송 수단 중 가장 많은 탄소를 배출한다. 기후 위기 시대에 정부 차원에서 ‘탄소중립’ 실현을 강조하면서도 새 공항을 지어 생태 공간을 점유하고 항공 운항을 늘리는 정책을 펴는 것은 모순에 가깝다. 때로는 통계 수치보다 실제 풍경이 더 많은 진실을 전달한다. 지난 2월 말부터 3월 초까지 닷새에 걸쳐 약 2600㎞를 이동하며 지역 공항 12곳의 현실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