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인데 대면진료 가능한가요?”
“마스크 잘 착용하고 시간 상관없이 오면 됩니다. 알아보고 외과 쪽도 가능하면 진료해 드릴게요.”
신청은 했지만 진료는 다음달 시작하는 곳도 여럿이었다. D병원은 “4월4일부터 예약할 수 있다”며 “골절, 정형외과 쪽도 가능한데 어떤 시간대 어떻게 오게 할지는 미정”이라고 했다.
한의업계도 확진자 대면진료에 관심을 두고 있다. 경기도의 한 한의원은 “고열, 기침·가래, 목 아픔 등 증상을 진료하며, 원내 별도로 분리된 진료실에서 진행한다”고 광고하고 나섰다. 대한한의사협회 관계자는 “감기에 쓰는 은교산·쌍화탕 등 건강보험이 되는 한약이 있다”며 “한방을 선호하는 분들이 있어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동네 병·의원에서의 코로나19 진료는 일상회복을 위한 전제조건이다. 대면진료로 고위험군을 신속하게 진단하고 처방하면 위중증 환자를 최소화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위중증 환자는 1315명으로, 이틀 연속 역대 최고치 행진을 이어가는 상황이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일상회복지원위원회 회의에서 “일상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가까운 동네 병·의원에서 쉽게 검사받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일상적 의료체계로 바꿔 나가야 한다”며 “정점 이후 일상회복을 위한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일상회복 과정에서 거리두기는 우선 ‘10인·밤 12시’로 완화하고, 2∼3주 뒤 조정 때 영업시간 제한을 없앨 것으로 관측된다.
일상의료체계로 첫발을 뗐으나 과제는 적지 않다. 확진자와 비확진자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전한 외래진료 구조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확진자 약의 대리인 수령 규정이 개선돼야 하고, 확진자의 입원 연계도 원활해야 한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정부는 독감보다는 안전한 최소한의 진료구조·기준을 제시하고, 의료진의 병상 요청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코로나19 치료제의 충분한 공급도 관건이다. 최재욱 고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치료제 공급이 잘 안 되면 대면진료를 해도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국립보건연구원은 국내 14개 의료기관과 함께 60세 미만 기저질환이 없는 확진자를 포함한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후유증 조사에 착수했다. 확진 3개월·6개월 후를 조사하며, 중간 결과는 올해 하반기 공개할 예정이다.
앞서 국내 의료기관 여러 곳에서 실시한 조사 결과 확진자의 20∼79%가 후유증을 겪었고, 증상은 피로감, 호흡곤란, 건망증, 수면장애, 기분장애 등이 많았다. 후유증은 19∼21개월 이상 지속하는 경우도 있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분석에서는 확진자의 2만1615명 중 19.1%가 후유증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만 5∼11세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된 가운데, 예약률은 1.5%로 저조했다. 고위험군 외에는 권고 강도가 낮고, 이미 해당 연령대의 48% 이상이 감염돼 접종 필요가 낮기 때문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