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연한 봄 날씨가 이어지면서 주말 산행에 나서는 사람이 늘고 있다. 그러나 퇴행성 무릎 관절염 환자의 경우 산행이 병을 악화하는 요인이 될 수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지난 3년간 무릎 퇴행성 관절염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수는 4∼6월이 가장 많았다.
◆국내에서는 여성 환자 압도적으로 많아
퇴행성 관절염 환자는 달리기, 등산, 배드민턴 같이 점프를 통해 무릎에 무리가 가는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다. 대신 수영, 고정식 자전거 타기, 수중 에어로빅 등 관절 부위에 부담이 적게 가는 운동을 통해 근력을 강화해야 한다.
이 교수는 “통증이 있다고 운동을 아예 하지 않으면 악순환이 된다. 근력 강화를 해야 통증도 줄일 수 있고, 비만 환자의 경우 체중을 줄일 수 있다”며 “보통 수영을 많이 권하지만 여의치 않으면 ‘계단을 걸어 올라가서 내려올 때는 엘리베이터를 타라’고 권한다”고 설명했다.
◆연골주사? 예방 효과, 재생 효과 없는 ‘윤활유’ 역할만
증상이 심하지 않은 초·중기에는 생활습관 교정과 약물치료가 일반적이다. 약물치료는 주로 소염진통제와 연골액을 보충해주는 일명 ‘연골주사’가 있다. 이름 때문에 연골을 재생하는 효과가 있다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관절염 예방 효과나 재생 효과는 전혀 없다. 통증 완화를 통한 기능적 회복이 목적이다.
문제는 약물치료로도 무릎 통증이 가라앉지 않을 때다. 이 경우 ‘근위경골 절골술’과 인공관절 수술이 선택지로 남게 된다.
두 수술 모두 대상은 제한적이다. 절골술은 O자 다리의 젊은층에, 인공관절은 말기의 노령층에 시행된다. 절골술은 무릎 안쪽에 부담이 많이 가는 O자 다리를 뼈를 잘라 하중을 이동시켜주는 만큼 O자 다리가 아닌 퇴행성 관절염에는 효과가 없다.
뼈 붙는 것이 어려운 노령층과 이미 무릎 관절이 다 망가졌을 때는 인공관절로 치환하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교수는 “인공관절은 연골이 다 닳거나, 관절이 완전히 붙어있거나, 5∼10분을 걷기도 어려울 만큼 통증이 심한 고령층에서 선택할 수 있는 수술”이라며 “다만 X-레이 검사에서 진행이 많이 됐더라도 본인이 느끼는 증상이나 통증이 심하지 않다면 수술 필요성은 없다”고 설명했다.
수술 후에는 거의 정상적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그러나 뛰거나 쪼그려 앉기 등 관절에 무리가 되는 행동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수술 후 부작용으로는 인공관절의 마모 혹은 탈락, 세균 감염 등이 있다. 특히 주사를 많이 맞은 환자의 경우 감염 위험이 2배가량 큰 만큼 주사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인공 관절 수술은 마지막 주사를 맞은 6∼7개월 이후에 하는 것이 좋다.
이범식 교수는 “과거에는 인공관절의 수명이 10∼15년 정도였지만 지금은 재질이 좋아져 마모로 인한 문제는 거의 없다. 10년 생존율이 95∼100%, 20년 생존율이 90% 이상”이라며 “인공관절 수술은 마모로 인한 문제보다 균에 의한 감염의 위험이 더 크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