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정부 5년간 ‘눈덩이’처럼 불어난 국가채무를 떠안고 출범해야 하는 윤석열정부는 예산 편성과 관련해 부채 확대보다는 지출 구조조정에 방점을 찍고 있다. 새 정부는 윤석열 당선인의 선거 공약이었던 국가채무 관리를 위한 재정준칙 도입도 국정과제에 포함하겠다는 입장이다. 문재인정부 시절 급증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 비용도 새 정부에서는 무분별한 확대를 줄이겠다는 기조다.
하지만 재정 지출이 불가피한 윤 당선인의 공약 사업 규모가 266조원에 달하는 데다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도 불가피해 재정준칙 도입의 경우 장기과제로 미룰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문 정부 5년간 국가부채는 763조원이 늘어 지난해 처음으로 2000조원을 넘어섰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도 2017년 36%에서 지난해 47%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개수로는 200여개, 예산 규모로는 266조원에 달하는 윤 당선인의 공약 일부를 정리하더라도 새 정부의 지출성 사업 규모가 만만치 않아 재정준칙 도입을 장기과제로 미룰 가능성이 제기된다. 현 정부도 2020년 재정준칙 도입을 발표하면서 2025년부터 적용하겠다고 다음 정부로 부담을 떠넘겼지만, 이마저도 국회에서 공전을 거듭하다가 무산됐다. 따라서 국가채무 관리와 재정준칙 도입은 향후 윤석열정부를 평가할 주요 지표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윤 당선인이 한덕수·추경호·김대기 등 ‘경제통 3인’을 각각 국무총리, 경제부총리, 대통령 비서실장에 낙점하면서 국가채무에 대해 엄격하게 관리를 해나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현직 국회의원인 추 후보자는 재정준칙을 강화해 불필요한 지출을 막기 위한 국가재정법 개정안을 제출하기도 했다. 옛 기획예산처에서 재정운용실 실장을 지낸 김 후보자도 예산 편성과 관련해 보수적 접근을 할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