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경주시 월성원전 부지 내에서 삼중수소 등 방사성 물질이 누설돼 확산한 것으로 추정됐다.
다만 부지 외부로의 유의미한 유출은 확인되지 않았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4일 월성원전 삼중수소 민간조사단과 현안소통협의회가 진행한 삼중수소 제2차 조사 경과를 발표했다.
원안위는 지난해 3월부터 월성원전 부지 내 고농도 삼중수소 검출과 관련된 국민 불안이 커지자 민간조사위와 이를 모니터링할 소통협의회를 구성,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앞서 민간조사위는 지난해 9월에 1차 조사결과를 내고 월성원전 부지 내 사용후핵연료저장조(SFB) 주변 토양과 물 시료에서 방사선핵종이 검출됐다고 밝힌 바 있다.
조사위가 이날 공개한 2차 조사에서는 터빈갤러리 내 바닥 침전물에서 감마핵종이 검출된 원인으로 1호기 폐수지 저장탱크(SRT) 누설탐지관의 누설수가 지목됐다.
SRT는 방사성물질을 흡착해 제거하는 수지를 모아놓는 시설로 총 3개의 탱크로 구성되는데 누설될 경우를 대비해 탱크 하부에 누설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공간이 설치돼 있다.
조사위는 집중호우 때 지하수위가 상승하며 터빈갤러리 측면의 빗물유입구를 통해 누설수로 오염된 지하수와 토사가 유입됐고, 이후 복수기 냉각수 침전물과 함께 섞여 터빈갤러리 전 구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판단했다.
누설수 중 일부는 지하로 유출됐을 것으로도 추정됐지만, 직접 확인되지는 않아 추가 조사공을 굴착하고 추적자 시험을 하고 있다고 조사위는 설명했다. 아울러 WS-2 관측정 지하수에서 높은 수준의 삼중수소농도가 나타났던 원인도 1호기 SRT 누설수에서 비롯된 것으로 봤다.
조사위는 71만3000Bq/L의 삼중수소가 검출됐던 원전 3호기 터빈갤러리 맨홀에 대한 검증시험도 벌였다. 그 결과 평균 농도 7.1Bq/L의 공기에 장기간 노출된 고인 물1t의 삼중수소 농도가 76만6000Bq/L로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다만 민간조사위는 “지난해 이후(2021년 8월∼2022년 4월) 조사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지하수를 통한 부지 외부로의 유의미한 삼중수소 유출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