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이 코로나19 ‘과학 방역’을 위해 빅데이터 정보를 활용하고, 이를 분석할 슈퍼컴퓨터를 도입할 방침이다. 또 바이오헬스 산업 활성화를 뒷받침할 제2의 바이오뱅크(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을 설립하기로 했다.
질병청은 26일 청주 오송읍 청사를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에 이 같은 내용의 정책 방향을 보고했다.
이에 따르면 방역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해 데이터 생산·분석 역량을 강화한다.
확진자, 코로나19 백신 접종 등 기존에 구축된 정보와 건강보험공단 등 다른 기관에서 보유 중인 정보를 연계하는 한편, 코로나19 항체 양성률 조사, 코로나19 후유증 조사 등을 통해 새로운 데이터를 수집한다.
수집된 정보의 분석에 필요한 슈퍼컴퓨터를 도입하고, 감염병 예측 모형 전문인력도 확보하기로 했다. 슈퍼컴퓨터 도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으로 144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AI융합 신규 감염병 대응시스템 사업’의 일환이다. 올해 하반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슈퍼컴퓨터를 구입해 최적화한 뒤 내년 초 질병청으로 이관될 예정이다. 이를 활용하면 전 국민 규모의 모델링, 사회환경적 변수 반영을 통해 정확도를 높인 코로나19 유행 전망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전문가 의견을 주요 정책 결정에 충분히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기구’도 신설한다. 이는 지난 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밝힌 전문가 중심의 독립위원회다. 과학적 근거에 기반을 둔 정책을 중대본에 제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정통령 중앙방역대책본부 총괄조정팀장은 “기존 일상회복위원회는 방역, 의료, 경제, 사회 등 여러 분야의 의견을 듣는 형식이었다면, 새로 신설된 자문기구는 전문가들이 논의 후 합의된 의견을 정부에 권고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질병청은 바이오헬스 정책과 직결되는 인체자원 확보와 활용을 위해 제2의 바이오뱅크를 구축한다. 총 사업비 184억원, 1618평(약 5349㎡) 4층 규모로 지어질 예정이다.
현재 2012년 개관한 바이오뱅크에 2만5000명분의 의료정보, 전장유전체 데이터 등이 확보돼 있다. 질병청은 중증난치질환, 암, 만성질환 등 100만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바이오 빅데이터를 활용하면 환자 개인별 맞춤형 질병 예방·진단·치료 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