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산업통상자원부의 대통령 업무보고에 담긴 ‘새 정부 산업통상자원 정책방향’에는 원전 확대 등 에너지 공급·수요 혁신전략 외에도 성장지향 산업전략과 국익·실용 중심 통상전략이 포함돼 있다.
산업부는 우선 올해부터 2026년까지 총 1조5300억원을 투입해 신산업 분야 3만9000명, 주력산업 분야 5만2000명, 탄소중립 분야 1만2000명, 산업협력 분야 3만9000명 등 총 14만명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특히 반도체, 이차전지, 미래차 등 미래 첨단산업 선도를 위해 필요한 신산업 석·박사급 연구개발(R&D) 및 설계 인재를 집중적으로 양성하고, 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형 인재를 신속하게 육성해 인력 ‘미스매치’를 해소할 수 있도록 비(非)학위제 민간 교육을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산업브레인센터’를 구축하는 한편 하반기까지는 이런 내용을 담은 ‘산업인력혁신특별법’(가칭) 제정을 추진한다.
산업부는 우리 산업의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해 산업·공급망 연계형 통상전략을 펼치는 동시에 첨단지식·인력 교류를 촉진하는 첨단산업 혁신형 통상전략도 함께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의 공급망 분야 협상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올해 하반기에는 ‘한·미 공급망·산업협력 대화’의 세부 분과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전 세계적으로 그린·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가속화함에 따라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주요 국가의 환경 관련 무역조치 도입 등에 철저히 대응하고, 디지털 통상 네트워크를 확대하기 위한 통상전략도 추진한다.
산업부는 원전 확대 외에도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 수요 효율화 등 에너지·기후 분야에서의 신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너지혁신벤처’ 육성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2030년까지 에너지혁신벤처 5000개를 발굴하고 에너지 예비 유니콘을 10개 이상 육성해 양질의 일자리를 10만개 이상 창출한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