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3%를 찍으며 23년8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지만, 전월보다 상승폭은 다소 둔화했다. 물가 고공행진이 조만간 잦아들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오지만,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6%대의 고물가가 당분간 지속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물가 흐름이 예상 범위에 있는 만큼 이달 말 한국은행의 대응은 빅스텝(한번에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대신 베이비스텝(〃 0.25%포인트 〃)이 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3%(전년 동기 대비)로 1998년 11월(6.8%) 이후 23년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1980년대 석유파동 이후 40년 만에 최악으로 꼽히는 이번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은 그 수준이 높다는 점도 문제지만, 상승세가 매우 가파르다는 점에서 당국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올해 2월까지 3%대이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월 4%대에 이어 5월 5%대, 6월 6%대로 급격히 상승했다. 상승폭은 4월 0.7%포인트, 5·6월 0.6%포인트였다. 5월까지는 0.2%포인트이던 기대인플레이션율 상승폭 또한 6월에는 0.6%포인트, 7월에는 0.8%포인트로 커졌다.
다만, 우크라이나 사태의 전개 양상과 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 추이 등이 불확실성 요인으로 남아 있다. 한은은 구체적으로 국제유가와 곡물 가격의 경우 여전히 공급 측면의 상방 압력이 있고, 수요 측면에서 외식, 여행·숙박 등 관련 개인서비스 물가 오름세가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고물가에 대한 대응 필요성이 여전한 만큼, 오는 25일 한은 금통위에서 추가 금리 인상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불확실성이 예상외로 확대되지 않았다는 점을 들어 두 달 연속 빅스텝에 대한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전망이 짙다.
한은이 지난달 사상 첫 빅스텝을 단행한 데에는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강해져 추가적인 물가 상승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가 가장 크게 작용했다. 이창용 총재가 전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물가 오름세를 잡지 못하면 국민의 실질소득이 더 떨어지고, 뒤에 (물가 상승세를) 잡으려면 더 큰 비용이 수반되기 때문에 금리를 통해서라도 물가 오름세 심리를 꺾는 것이 거시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것도 이러한 맥락이다. “물가가 예상했던 기조에서 벗어나면, 금리 인상의 폭과 크기를 그때 가서 데이터를 보고 결정하겠다”는 단서 조항 또한 여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