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항해시대 범선을 앞세운 유럽 열강의 인도항로 개척은 지중해를 넘어 인도양과 아시아·태평양의 신대륙을 발견하고 현재의 세계지도를 만드는 발단이 되었다. 유럽의 탐험대들은 동남아로 향했고, 1511년 포르투갈의 말라카 왕국 점령은 동남아의 식민 시대를 여는 첫 사건이 되었다. 식민 시대를 거친 이후 독립 국가로 등장한 동남아 국가들은 냉전기의 불안정한 국제 질서 속에서 1967년 8월 동남아국가연합, 아세안(ASEAN)을 창설하기에 이르렀다. 지금의 동남아, 그리고 이들 10개국이 모인 아세안은 해양지정학의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아세안은 냉전기 미국이나 소련이 제창한 지역 협의체에 참여하는 형태가 아니라, 지역 국가들 스스로가 주체가 되는 독자적 협의체다. 아세안은 다양한 이해관계를 지닌 역내 회원국과 역외 대화상대국을 규합하여 공동의 선을 창출하는 시스템을 고안해냈다. 아세안 지역안보포럼(ARF, 1994년), 아시아·유럽 정상회의(ASEM, 1996년), 아세안+3 정상회의(APT, 1997년),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2005년), 아세안확대국방장관회의(ADMM-Plus, 2010년),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2022년) 등이 대표적이다. 이를 통해 냉전기에는 미국과 소련, 탈냉전기에는 일본과 중국까지 아세안이 중심이 되는 지역 질서 속에 초대하여 상호 합의에 의한 협력의 규범을 만들고 안정과 번영을 모색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런데 올해 8월8일 창설 55주년을 맞은 아세안 앞에는 수많은 도전 과제가 놓여 있다. 가장 큰 도전 중 하나가 해양지정학의 귀환이다. 중국이 현상 변경을 노리는 해상 세력으로 인도양으로의 진출을 본격화하자 미국을 위시한 서방 국가들은 이를 저지하는 연합 작전을 벌이기 시작했다. 미·일·인도·호주 4자 협의체 쿼드(Quad)와 미·영·호주 3자 협의체 오커스(AUKUS)가 대표적이다. 경제적으로는 미국이 주도하는 다자 협의체인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출범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아세안이 주도한 협력 기제들은 힘이 빠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