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폭우로 서울 8명을 포함해 전국에서 20명의 인명 피해가 발생했지만 서울시 재해 정보 관리는 여전히 부실한 것으로 파악됐다. 집값 하락을 우려한 민원 등으로 침수이력 정보는 제대로 안내되지 않았으며, 대피로 정보는 현실성이 떨어졌다.
29일 세계일보 확인 결과, 서울시가 침수이력을 사전에 확인하고 신속히 대응하겠다며 2014년 공개한 재해지도는 사실상 제 기능을 못 하고 있었다.
서울안전누리 ‘재해지도’에 접속해 침수흔적도를 찾아보면 2010년과 2011년 자료가 공개되지 않고 있다. “2010, 2011년 침수흔적도는 개선 작업 중입니다”라는 문구만 뜬다. 이빨 빠진 자료마저도 2014년까지만 공개됐고, 2015년 이후부터는 아예 업데이트가 되지 않았다. 올해를 제외하고 최근 10여년간 서울시에서 가장 큰 침수 피해가 발생한 때가 2010년과 2011년, 2018년인데 정작 서울시 재해지도에선 당시 침수흔적도 정보를 알 수 없는 상황이다.
2011년 이후 설정된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엔 여전히 서초구, 용산구, 양천구, 강서구만 포함돼 있다. 이번 반지하 가구 사망사고가 발생한 동작구와 관악구는 여기에 해당하지 않았다. 환경부가 제공하는 홍수위험지도 정보시스템의 ‘내수침수위험지도’에서도 서초구, 강남구 등 7개 자치구만 나타날 뿐, 관악구는 빠져 논란이 일었다.
올해 초까지 서울시설공단 이사장을 지낸 조성일 대도시방재안전연구소장은 “주민들의 민원 문제가 있지만, 숨기기만 해선 다가올 위험을 사전에 대비할 수 없다”며 “대심도 빗물터널 설치 등 대규모 공사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당장 할 수 있는 대응시스템을 정비해서 다시는 생명을 잃는 일이 없도록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