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세계최대 규모 이산화탄소 저장소 구축”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 로드맵
저장소 규모 2050년 연 1500만톤
재생에너지 연계 수소 생산 확대
2028년까지 상용급 실증사업 추진

정부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우리나라에 세계 최대 규모의 이산화탄소 저장소를 만들고 수소 공급을 대폭 늘린다. 화력발전 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연료의 사용 비율도 지속해서 높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제5차 탄소중립기술특별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로드맵’을 심의·의결했다. 지난달 26일 출범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에서 발표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술혁신 전략’의 후속 조치다.



먼저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분야에서는 지난해 발표된 대로 동해가스전에서 탄소 저장을 위한 중규모 CCS 통합실증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CCS는 발전·산업체 등의 화석연료 사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안전하게 육상 또는 해양 지중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과기정통부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저장소를 운영하는 국가로 도약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장소 규모는 2030년 연 400만t, 2050년 연 1500만t으로 세웠다.

정부는 또 수소 연간 생산·공급 목표로 제시한 2030년 194만t, 2050년 2790만t을 맞추고자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국내 수소 생산 역량을 확대하도록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2025년까지 최적의 그린 수소 생산 모델을 선별한 뒤 2028년까지 상용급 실증 사업을 추진한다. 해외 청정수소를 국내에 도입하기 위한 대용량 저장, 장거리 운송, 국내 하역 및 공급 기술을 개발하는 동시에, 수소를 대량 보급하기 위한 기체 운송 기술 고도화 등에 나선다.

화석연료에 수소나 암모니아 같은 무탄소 연료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기술인 ‘무탄소 전력공급’ 분야 기술 혁신 방안도 로드맵에 담았다.

정부는 2030년까지는 암모니아 혼소 발전을 전체 발전의 3.6% 수준으로 확대하고, 2050년에는 수소를 활용한 무탄소 가스터빈을 전체의 21.5%까지 확대해 나갈 계획을 하고 있다. 석탄발전에서 석탄 일부를 암모니아로 대체하는 비율을 2027년 20%, 2030년 50%로 단계적으로 높이는 기술을 고도화한다.

또 LNG를 수소로 대체하는 기술을 확보해 2028년에는 실증 사업까지 연계해 나갈 계획이다. 수소차는 2030년까지 총 450만대를 보급한다는 목표로 차세대 전지 차량 실증과 배터리 화재 억제 기술 개발을 병행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로드맵은 향후 국가 연구개발 투자 방향, 국가 연구개발 예비타당성 심사 등에 우선적으로 활용된다”며 “향후에도 기술 및 정책 상황변화 등을 고려해 주기적으로 재설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