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부천시 경기도일자리재단 대표이사실에는 지난 2일 이색 현수막이 내걸렸다. 이날 공식 임기를 시작한 채이배(사진) 대표를 향해 ‘눈이 빠지게 기다렸다’는 직원들의 환영 인사였다. 공모 절차와 도의회 청문을 거쳐 수개월 만에 출근한 그를 따뜻하게 반긴 셈이다.
지난 19일 재단 대표이사실에서 만난 채 대표는 “8개월간 (수장) 공백이 있었고, 많은 직원이 기다려줬다”며 “취임한 지 며칠 만에 재단을 대표해 상을 받으러 가는 등 복 받은 대표라 생각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직원들을 추슬러 재단이 같이 손잡고 나갈 수 있는 그런 기관으로 거듭나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20대 국회의원 시절 그의 애칭은 ‘재벌 저격수’였다. 2001년 공인회계사 시험 합격 뒤 회계법인을 거쳐 15년 넘게 소액주주운동을 이어온 이력 때문이다.
경제 민주화와 공정경제를 위한 입법 활동을 펼친 그는 유연한 사고를 지닌 것으로 회자된다. 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위한 특례법 개정안을 두고 특정 업체를 봐주기 위한 재벌특혜법이라고 반대하면서도, 차량 호출 서비스 ‘타다’의 운행을 금지하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에는 혁신 기업 생존을 위협한다며 반대할 만큼 운신의 폭이 넓었다. 국회에서 ‘카톡 대란’ 방지법을 주장했던 몇 안 되는 의원 중 한 명이기도 했다.
채 대표는 정책 입안자에서 실행자로 입장이 바뀌었다. 그는 “회계사, 시민단체 활동가, 국회의원 등 직업은 여러 개였지만, 그걸 하나의 업으로 생각하고 정책 전문가로 일해왔다”며 “민생의 출발점은 일자리이고, 경제 민주화나 공정경제 생태계와 뗄 수 없는 관계”라고 강조했다.
채 대표는 일자리 확대와 소득 증대로 민생의 주름을 펴는 선순환 구조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수요 중심의 맞춤 서비스로 전환한다는 재단 운영의 명확한 방향을 제시했다. 기존 생애주기별 맞춤 서비스에 대해선 “복지 분야에선 어느 정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일자리 분야에선 효과가 한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자리재단의 400명 넘는 정규·비정규직원이 1년 1700억원의 예산을 들여 1만명 안팎의 취업자를 만드는 게 적정 성과인지는 돌아볼 필요가 있다”면서 “고용 연계 서비스를 구체화하고 광역 기능을 강화하며 직업 훈련을 강조하겠다”고 했다.
채 대표는 마지막으로 “정책 결정 과정에서 도, 도의회와 소통하고 직원들과 공감대를 형성해 반드시 성과를 내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