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큰불이 난 서울 강남구 개포동의 구룡마을은 1980년대 말부터 도시 내 생활 터전을 잃은 철거민들이 구룡산과 대모산 자락에 이주하면서 만들어진 집단촌락이다.
서울시와 강남구에 따르면 무허가 판자촌인 구룡마을은 2011년까지는 '사유지를 불법 점거하고 있다'는 이유로 주민들이 전입신고조차 할 수 없었다. 하지만 행정소송 끝에 주민들이 승소하면서 2011년 5월 2일부터 강남구에서 전입신고를 받고 있다.
전입신고가 허용되면서 거주민은 임대주택을 받을 수 있게 돼 공영개발 착수가 가능해졌다. 같은 해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강남구에 도시개발구역 지정 제안을 하면서 구룡마을 개발의 첫발을 뗐다.
재개발이 제자리걸음을 하는 동안 구룡마을에서는 크고 작은 화재 등 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2009년부터 이번까지 최소 16건의 화재가 발생했고, 2014년 11월에는 주민 1명이 숨지기도 했다. 작년 3월에도 화재로 주택 11채가 탔고, 인근 대모산까지 불이 번져 산림 일부가 소실됐다.
구룡마을 집들은 '떡솜'이라고 불리는 솜뭉치를 사방에 둘렀고 내부는 비닐, 스티로폼 등 가연성 물질로 덮여 있어 화재에 취약한 구조다.
집들이 서로 붙어있는 데다 LPG 가스통과 연탄, 문어발식으로 얽혀 있는 전선으로 인해 불이 나면 대형화재로 번질 우려가 있는 데다가 진화도 쉽지 않다.
지난해 8월 집중호우 때는 구룡마을 주택들이 침수되면서 10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기도 했다.
화재나 침수가 있을 때마다 주민들은 임시 구호소로 대피했다가 돌아오기를 반복하고 있지만, 열악한 환경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오세훈 시장은 이날 구룡마을 화재 상황을 보고 받은 뒤 SH공사와 강남구 등에 이재민 주거이전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연합>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