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고부가’ 철강 생산 동맹 결성… 1500억 민간펀드 만든다

정부와 철강업계가 생산 과정에서 저탄소화를 추진하기 위해 1500억원의 민간펀드 조성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철강 기업 7개사(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세아제강·KG스틸·대한제강·아주스틸) 등은 16일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호텔에서 철강 생산 저탄소화 추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6일 서울 동대문구 JW메리어트호텔에서 '철강산업 발전 원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이번 협약은 철강 생산 공정의 저탄소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투자 및 기술개발 촉진을 위해 정부와 업계가 협력하는 것이다.

 

정부와 업계는 2021년 1월 발족한 그린철강위원회를 가칭 ‘철강 생산 저탄소 얼라이언스(동맹)’로 개편해 올해 1분기 안에 협의체를 구성한다는 계획이다.

 

협의 사항 이행을 위해 지난해 6월 1500억원 규모로 조성해 운영 중인 ‘철강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상생펀드’를 활용하되, 펀드가 소진되면 저탄소화에 특화된 1500억원 규모의 민간펀드를 별도로 조성하기로 합의했다.

 

현재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의 새 탄소 규제가 등장하며 탄소감축이 수출 경쟁력이 되는 무역 질서가 형성되는 데다가, 글로벌 공급 과잉으로 전방산업의 친환경 전환으로 철강 수요 구조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에 정부와 업계는 이런 상황을 극복하고 철강 산업의 새로운 도약 기반을 마련하고자 철강산업 발전 전략을 발표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원료-공정-제품-수출’로 이어지는 철강 가치사슬(밸류체인)에 걸쳐 2030년까지 철스크랩(고철) 산업 생태계 구축, 세계 최초 수소유동환원 기술 개발, 친환경 선박용 고망간강 밸류체인 완성, 글로벌 수출 3강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먼저 정부는 철스크랩의 산업화와 공급 안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철스크랩을 폐기물에서 제외되도록 환경부 등과 협의하고, 제조업에 준하는 기업활동 지원을 위한 법령 정비를 검토할 예정이다.

 

고급 스크랩 활용도를 확대하기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선별 방식 도입도 추진된다.

 

또 제강사·철스크랩 공급사로 구성된 ‘철자원 상생포럼’을 4월 중 신설해 수요사와 공급사 간 협력도 증진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정부는 2050년까지 고로 11기를 수소유동환원로 14기로 대체하는 것을 목표로 2025년까지 수소유동환원 기초 기술 개발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정부는 수소유동환원 기술의 완전한 도입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해 현존 고로·전기로에서 탄소 감축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2030년까지 약 2400억원규모의 연구·개발(R&D)비를 투입한다는 입장이다.

 

이 장관은 “철강산업이 탄소다배출 산업에서 친환경산업으로, 범용재 위주 생산에서 고부가 제품 생산으로 환골탈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