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가 주최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개발자 컨퍼런스 ‘데뷰(DEVIEW) 2023’이 27일 개막했다. ‘’
데뷰는 지난 2008년 네이버의 사내기술행사로 시작해 2010년 외부 개발자에게 문호를 개방, 매년 IT 분야의 최신 기술과 트렌드를 공유하며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개발자들이 주목하는 대표적인 행사로 자리잡았다.
올해 15회차를 맞이한 ‘데뷰 2023’은 이날부터 이틀간 삼성동 코엑스에서 3500여 명이 참가자들과 함께 진행된다. AI/ML, 클라우드, 웹, 검색, 모바일, NLP, 데이터, 추천, 인프라 등 총 46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네이버는 이날 글로벌 시장 개척을 위해 회사가 연구·개발 중인 다양한 분야의 선행 기술들을 참가자들과 공유하며, 소통을 통해 기술을 함께 진보시켜 나가자는 의지를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초대규모AI 준비 마친 팀 네이버, 오는 7월 ‘하이퍼클로바X’ 선보인다
데뷰는 ‘챗GPT’와 같은 AI가 세상에 거대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음을 화두로 던진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의 키노트로 시작됐다.
김 대표는 초대규모AI 기술과 클라우드·SaaS 비즈니스 간 시너지를 통해, 네이버클라우드를 AI 전환(transformation)을 이끄는 하이퍼스케일 기술 기업으로 도약시키겠다고 말했다.
더불어 김 대표는 고객의 목적에 맞춰 최적화할 수 있는 초대규모AI ‘하이퍼클로바X’를 7월 중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생성AI(Generative AI)와 같은 초대규모AI로 기술 패러다임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한국 IT 산업을 대표하는 ‘팀 네이버’ 역시 초대규모AI 상용화를 주도해 누구나 활용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에서도 경쟁력 있는 국내 초대규모AI 생태계를 만들어 가겠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는 “‘팀 네이버’는 글로벌 수준의 AI기술력과 역량을 결집시켜 전세계적 변화의 흐름에 가세할 준비를 마쳤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어 “하이퍼클로바X는 고객이 자체 보유한 데이터를 하이퍼클로바와 결합해 사용자 니즈에 맞는 응답을 즉각 제공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한 초대규모AI”라며 “개별 서비스부터 특정 기업 또는 국가 단위까지 누구나 저마다 목적에 최적화된 AI 프로덕트를 만들어 더 큰 가치를 창출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챗GPT’ 등장 이후 전 세계적으로 초대규모AI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언어적 한계와 ▲이에 따른 데이터의 신뢰성과 최신성 확보, 그리고 ▲비용적 문제는 여전히 상용화를 어렵게 만든다.
그렇기에 특정 언어와 문화를 가장 잘 이해하고 해당 국가의 산업·환경에 맞는 초대규모AI와 이를 위한 기술·데이터에 대한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이미 자체 인프라와 기술에 선행적으로 투자해 온 네이버는 파트너들과 함께 국내 초대규모AI 산업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대표에 이어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AI 기술 총괄이 초대규모AI ‘하이퍼클로바X’의 경쟁력을 ▲곽용재 네이버클라우드 CTO는 초대규모AI에 필수적인 인프라에 대한 설명을 ▲마지막으로 김용범 네이버 서치US 치프 사이언티스트가 ‘SearchGPT 프로젝트’를 설명하며 키노트를 이어갔다.
성낙호 하이퍼스케일AI 기술 총괄은 기능성·안정성 모두를 확보한 하이퍼클로바X의 경쟁력과 강점에 대해 설명했다. 성 총괄은 “보다 전문적이고 고도화된 초대규모AI 서비스를 위해서는 개인이나 기업 등 사용주체에게 밀접한 데이터로 학습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실제 하이퍼클로바X의 데모 버전을 선보였다.
이어 그는 “하이퍼클로바X는 ‘챗GPT’ 대비 한국어를 6,500배 더 많이 학습하고 사용자가 바라는 AI의 모습을 발현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AI인 만큼, 작은 양의 데이터라도 고객이 보유한 데이터와 결합하면 특정 서비스나 기업 등 해당 영역에 최적화된 초대규모AI 프로덕트 구축이 가능하다”며 “또, 사용자 니즈에 맞는 응답을 다양한 인터페이스로 즉각 제공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곽용재 CTO는 초대규모AI 서비스에 필수적인 AI반도체 솔루션과 하이퍼스케일 IDC에 대해 소개하며 “초대규모AI가 향후 더욱 고도화될 것임을 고려할 때, 소프트웨어-하드웨어-운영환경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곽 CTO는 구체적으로 “삼성전자와 함께 LLM(대규모언어모델)의 연산과 학습, 추론에 필요한 기능을 모두 갖추면서도, 기존 GPU 대비 1/10 크기의 모델 사이즈, 4배 이상의 전력 효율성을 갖춘 경량화 된 AI반도체 솔루션을 만들고 있다”며 “올해 오픈할 하이퍼스케일 IDC 각 세종의 경우 AI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안정적인 전원 용량 확보 및 냉방 기술을 갖췄으며, 이번 AI반도체 솔루션을 각 세종에서 운영할 경우 기존 GPU 대비 4배 더 큰 운영 규모를 갖춰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키노트의 마지막 순서를 맡은 김용범 네이버 서치US 치프 사이언티스트(Chief Scientist)는 네이버의 차세대 검색 기술 프로젝트 ‘SearchGPT’를 설명했다.
‘SearchGPT 프로젝트’는 하이퍼클로바를 네이버 검색에 특화시킨 검색 대규모 언어모델(Search LLM) '오션(OCEAN)'을 백본(back-bone)으로 활용한다. 이를 바탕으로 네이버가 20년간 축적한 사용자의 검색 흐름 데이터를 모델링하여 사용자가 검색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최적의 경로를 안내, 이를 통해 검색의도와 결과를 더 잘 이해하고 신뢰성이 강조된 답변을 생성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그는 “정보의 신뢰성(trustworthy), 네이버 서비스와의 연결성(connected), 효과적인 정보 제공을 위한 멀티모달(multimodal) 세 가지를 중점으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최신성과 정보 간 교차·반복 검증 및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정확성과 신뢰성을 갖춘 정보를 생성하고 ▲쇼핑, 페이, 지도 등과 같은 네이버 서비스와의 유기적인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최적화된 정보를 ▲이미지, 동영상, 음성 등과 함께 활용해 직관적인 형태로 제공하고자 한다”며 “‘SearchGPT 프로젝트’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한층 더 차별화된 검색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하며 키노트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