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성장 산업으로 떠오른 바이오헬스 산업을 육성해 세계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청사진을 세웠다. 우리나라는 공공기관이 방대한 의료데이터를 보유하고 있고,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한 만큼 바이오헬스 산업이 성장할 환경이 충분하다고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급격히 확장했다가 경기침체 여파로 수그러진 바이오산업의 성장 불씨가 꺼지지 않도록 투자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런 내용이 담긴 ‘바이오헬스 신시장 창출 전략’을 보고했다. 세계 각국이 신시장인 바이오헬스 산업에서 주도권을 쥐기 위해 투자를 늘리는 가운데 경쟁력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산업 성장 동력을 빠르게 확보하겠단 계획이다. 디지털 헬스케어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0년 1520억달러(약 200조원)에서 2027년 5080억달러(약 668조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정부는 2027년까지 연 매출 1조원 이상인 블록버스터급 신약 2개를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이날 “(신약 개발이) 유력한 품목 5∼6개에 집중하고 있다”며 “이 중 2개 정도에서는 5년 내에 블록버스터급 신약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86억달러(약 11조3200원) 수준의 의료기기 수출도 같은 기간 160억달러(약 21조600억원)까지 2배로 끌어올려 세계 5위 의료기기 수출국으로 발돋움하겠다는 목표도 내세웠다.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암 질환의 임상 정보, 청구·검진 및 사망 정보를 연계·결합한 임상데이터 네트워크(K-CURE)를 2025년까지 구축하고, 공공기관이 보유한 보건의료 데이터를 결합해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플랫폼도 활성화한다. 민감한 개인정보가 무분별하게 유통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임인택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동의 후 활용하더라도 지정 기관 등에서만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첨단 융복합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 지원도 강화한다. 치매와 만성질환, 희귀·난치성 질환 환자 등을 대상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가상현실(VR) 등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디지털 치료기기 개발을 지원한다. 차세대 항체의약품을 빠르게 개발하기 위해 단백질 구조 예측과 항체 설계가 가능한 ‘한국형 로제타폴드(가칭)’ 개발도 추진한다.
현장 맞춤형 인재 등 11만명의 핵심 인재 양성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바이오헬스 마이스터대’를 도입하고 바이오헬스 계약학과를 5개에서 8개로 늘리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석박사 165명, 학부 465명 등 총 630명의 바이오 융합인재를 양성하는 등 올해 바이오헬스 분야에 3조9000억원을 투입한다.